홍성-예산 행정구역통합, 이젠 홍성군이 앞장설 것을 요구한다

2012-04-26     오석범 홍성군의회 의원

‘(가칭) 홍성· 내포신도시· 예산 상생발전 협의회’를 구성하여 상생발전과 통합을 논의하는 공론의 장을 열어 정부정책에 반하지 않고 지역에 실익을 가져올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여 주민의 삶의질 향상과 행복지수에 만족을 주는 행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2009년 8월 의회 5분 발언을 통하여 공론화한 통합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정부주도의 강제통합보다는 주민자치시대에 주민의 뜻에 따라 양 군에서 자율통합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되는 것이 기본이다.

이웃나라 일본의 경우 1999년부터 3229개의 시정 촌을 1773개로 통합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경우 1995년 도농 통합 1호인 나주시와 나주군, 1998년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 3여 통합, 2006년 제주특별시자치도 설치, 2010년 전국 15개 시군행정구역 통합 중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가 통합해 전국 3개시가 통합됐다. 또한 도청이 이전되는 경북 안동시와 예천군에 각각 50%의 지분으로 신도시가 건설 중이다. 2005년 전남도청이 이전된 무안군의 경우 목포시에서는 5번이나 통합제의를 하고 있다.
외국과 전국의 사례에서 우리 홍성군과 예산군도 그 중심에 있는 것이다.

2012년 4월17일 대통령직속 지방행정체제 개편추진위원회에서 홍성과 예산을 방문하여 주민여론 청취와 의회의 의견, 집행부의 의견을 청취한 것도 주민 자율에만 맡기다 보니, 통합의 의견이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자치단체장들의 이해관계가 작용하는 등 주민의 뜻이 왜곡되는 부작용과 정부에서 추진하는 행정의 효율성, 주민 생활의 불편을 볼 때 전국에서 경북의 안동과 예천, 충남의 홍성과 예산이 주민의 뜻과 무관하게 특수지역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지금 홍성·예산은 2013년 1월1일 충남의 서해 중부권에 도청 개청을 앞두고 있다. 홍성 200만평, 예산100만평의 도청신도시의 행정 또한 홍성·예산으로 갈라지고 있고, 2006년 2월 도청유치에 함께 노력하여 성공한 홍성·예산 군민들은 마냥 기뻐하는 축제분위기는 아닌 것이다.

도청신도시로의 쏠림 현상 때문에 홍성이나 예산은 원도심공동화를 우려하고 있고 신도시의 배후도시로 전락한다는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위기를 호재로 삼아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홍성·예산 주변을 보자. 천안시· 아산시는 인구와 경제의 집중 도시로 발전하고 있으며, 당진시·서산시· 보령시 등 홍성·예산을 둘러쌓고 있는 주변지역은 시로 승격하여 지역을 발전시키고 있지 않은가?
홍성·예산은 도청을 유치하여 충남의 중심에 있으면서 내포신도시를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남기고 군으로 남아 전락할 것인가? 이제 홍성·예산은 역사의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10년 후, 50년 후, 100년 후 후세에게 부끄러운 역사를 물려줄 수는 없는 것이다.

내포신도시 3만, 홍성 9만, 예산 9만 총 21만의 인구가 집중될 것이며 충남의 중심, 행정· 교통· 교육· 문화· 경제의 중심이 되는 도청소재지가 있는 고장을 만드는 것이 현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의 숙명이요, 역사적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이나 집단의 조그마한 이해관계를 접고 대승적 차원에서 홍성군민이 앞장서서 홍성·예산이 손잡고 영광스런 고장을 만드는 것이 이 시대를 함께 하는 우리들의 몫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