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우리가 다문화사회 수용 능력 키워야 할 때

2012-05-10     윤종혁 홍성이주민센터 사무국장

다문화사회. 이제는 익숙한 말이 되었다. 이주외국인 140만 시대. 다문화사회에 대한 관심도 크게 늘고 있다. 다문화 관련 예산도 크게 증가했고 홍성에서도 이주민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현재의 추세처럼 매년 10%씩 이주민들이 증가한다면 대한민국은 10년 뒤에 500만 시대의 다문화사회가 열린다는 보고서가 제출되기도 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다문화수용성지수를 보면 우리의 다문화 수용성은 100점 만점에 51.17점으로 중간 정도다. 어느 국가든 다양한 인종·종교·문화가 공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문화 공존’에 대해 한국은 36%에 불과했다. 이러한 수치는 일단 이주민들이 한국에 왔으면 한국법과 제도를 따르라는 동화(同化)주의에 가깝다.

동화주의는 나와 다른 존재, 나와 다른 가치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다. 쉽게 말해 현재의 정책은 다문화사회의 다양성을 한국화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너는 우리와 다르지 않아”라는 말 대신 “너는 우리와 다르니까 빨리 우리처럼 살아야 된다”는 것을 강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결국 주류사회에 편입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크나큰 절망감을 안겨주고, 훗날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 단적인 예로 현재 외국에서 벌어진 충격적 사건들이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해주고 있다.

다문화는 우리의 미래이자 성공의 열쇠이다. 한국사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먼저 다문화에 대한 수용 능력을 키워야 한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남편과 가족들은 물론이고, 일반 주민들도 다문화사회에 대한 깊은 성찰과 이해가 필요하다. 학교 또한 마찬가지다. 다문화가정 아이들을 따로 구분지어 마치 특별한 혜택을 주는 듯한 교육정책을 뛰어 넘어 더불어 살아가는 새로운 교육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현재 다문화가정의 청소년과 어린이들은 한 동족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한국사회의 편견으로 인해 심리적 고립감, 정서적 소외감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회적 고립감과 소외감 때문에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어린이들 그리고 그 부모들은 지역사회의 이웃 주민들과도 잘 어울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누구의 책임인가.

다문화사회에 대한 과감한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주민들에게 빨리 한국 사람이 되라는 정책을 지양하고, 이제는 일반 주민들이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다문화사회가 지역 발전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을 이끌어줘야 한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좀 더 세밀한 정책을 펼쳐야 할 때이다.

이제는 단순히 이주민들에게 도움을 줘야 한다는 편협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이주민들이 주민의 한 사람으로 당당한 권리를 부여받을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진정 중요한 것은 우리가 다문화사회를 객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정책의 과감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펼칠 수 있는 행정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홍주일보·홍주신문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