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인삼, 유통센터 설치로 농가소득 확대
농촌의 힘, 홍성의 발전을 꾀하다〈7〉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
인삼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토양을 잘 가꾸는 것’
유통센터 설치로 중국 인삼과의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회장 변석순)는 28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수십 년간 홍성에서 인삼 재배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변석순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장은 “40년간 인삼을 재배하며, 이를 통해 부농을 이루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그는 두 아들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 것에 대해 큰 자부심을 느꼈다. 인삼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토양을 잘 가꾸는 것이며, 이는 인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 30년 전에는 소가 끄는 쟁기로 토양을 일궜지만, 현재는 트랙터를 사용해 땅 갈기가 훨씬 수월해졌다. 2년간의 토양 만들기 과정에서 볏짚을 활용하며, 이는 토양을 옥토로 만드는 기본 재료가 된다. 볏짚 거름은 토양의 질을 개선해 인삼 뿌리가 땅속으로 깊이 내릴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해 튼튼한 인삼으로 자라날 수 있다.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의 인삼 재배 방식은 지속 가능한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변 회장과 회원들의 노력은 토양 관리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고품질의 인삼을 생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농업이 단순히 생산성 향상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해야 함을 보여준다.
땅을 2~3회 걸쳐 갈아엎은 볏짚의 C/N 율이 70 정도로 분해가 서서히 되기 때문에 일반 밭이나 시설재배지에서는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인삼 재배에 있어서 중요한 환경적 요소이다.
그러나 땅이 습하고 토양이 환원 상태가 되면 유해한 가스가 발생돼 인삼 재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들어 인삼 가격이 하락하고 인건비 상승, 농약값의 상승으로 인삼 재배 농가는 큰 고민에 직면해 있다. 그래서 홍성군의 인삼 재배 농가는 현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중국으로의 한국 인삼 재배기술 유출이 국내 인삼 가격 하락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에서의 인삼 재배가 활발해지면서 국내 인삼 가격이 점점 하락하는 추세이다. 이는 국내 인삼 재배 농가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농가의 수익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인삼 가격의 하락을 막고 농가의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저온창고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저온창고는 인삼을 적정 온도에서 보관해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인삼의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홍성군에 ‘유통센터’를 설치해 농민들이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유통센터’는 인삼의 유통 과정을 효율화하고, 농민들이 중간 상인 없이 직접 소비자에게 인삼을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회원들과 최고의 인삼 재배를 위해 노력하는 변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장은 “품질이 우수한 인삼을 수확하기 위해선 2년간의 철저한 토양 관리와 5년간의 인삼 재배 후, 7년째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방법은 인삼의 품질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꼽힌다.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는 매월 2일 월례회를 개최해 회원들 간의 화합과 소통을 도모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는 인삼 연구에 필요한 정보 공유는 물론, 재배 기술과 시장 동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이를 통해 회원들은 인삼 재배에 필요한 최신 지식을 습득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며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다.
변석순 회장은 “홍성군에서 최고로 우수한 품질의 인삼을 재배하고 수확하기 위해 회원들과 함께 부단히 노력할 것”임을 밝혔다. 토양 관리와 장기간의 인삼 재배 과정을 통해 홍성군 인삼의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이를 통해 홍성군 인삼이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최고 품질의 인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의 노력과 헌신은 홍성군 인삼의 품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철저한 토양 관리와 장기간의 인삼 재배는 최고 품질의 인삼을 수확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임이 다시 한번 강조됐다. 홍성군인삼농촌지도자회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홍성군 인삼의 가치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