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 빠진 인수위 국정과제…충청권 반발
서해안 유류사고대책 등 주요 현안 빠져
박근혜 정부 인선에 충남 출신이 전무해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수위가 발표한 140대 국정과제 등에도 충청권의 공약 등이 거의 반영치 않아 이에 반발이 심해지고 있다.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는 지난 21일 박근혜 정부의 국정비전을 '국민행복, 희망의 새 시대'로 정하고 국정비전 달성을 위한 5대 국정목표로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맞춤형 고용복지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 △안전과 통합의 사회 △행복한 통일시대의 기반구축 등을 역점으로 한 140대 국정과제를 발표했다.
그러나 인수위가 발표한 140대 국정과제에 서해안 유류사고대책 등 실질적인 것은 없었으며, 충청권에 관련된 항목은 세종시 조기정착을 통한 업무효율 극대화 외에 특별히 눈에 띄지 않았다. 이에 대해 대전참여시민연대는 "과학벨트 거점지구 부지매입, 세종시의 자족기능 확보방안 등이 누락됐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충남도는 지난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인수위가 발표한 박근혜 정부 국정비전 및 국정목표와 140대 국정과제에는 그동안 도가 건의한 과제 및 사업이 포괄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앞으로 충남의 제안 과제 및 사업을 구체화 시켜, 새 정부 각 부처의 세부 사업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도는 지난달 31일 인수위에 도 현안 17개 과제, 22개 사업을 제안한 바 있다. △농림축산업의 신성장 동력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국가 신 성장 거점으로 육성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복지 농어촌 건설 △지방재정 확충 및 건전성 강화 △지방분권 강화 및 시민사회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이다.
이번 국정과제 발표에 대해 충남도 관계자는 "추후 서해유류피해지원 등 반영되지 않는 현안 과제들에 대해서도 새정부 각 부처의 세부 업무계획 또는 공약 실행계획 등에 반영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충남의 제안 과제 및 사업을 구체화 시켜, 새 정부 각 부처의 세부 사업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