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예산 등 충청권을 사수하라
이명박 당선인…충청엔‘아픈 기억’있다
특히 이회창 전 총재의 출마가 예상되는 홍성·예산을 비롯한 공주·연기 등 차령 산맥 이남 지역에선 힘든 싸움이 예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들 지역은 지난 대선 때 이명박 당선인이 이회창 후보에게 크게 졌던 지역들이다.
이처럼 충청에 대해서는 이 당선인에게 아픈 기억들이 남아 있다. 이처럼‘정복하지 못한 땅’인 충청권 공략을 위해 이 당선인 측이 쥐고 있는 카드가 인사와 정책 두 가지다.
충청 출신 인사들을 새 정부의 중요한 자리에 기용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등 충청 민심에 호소할 만한 정책 이슈들을 앞세워 길고 길었던 충청권과의 악연을 끊겠다는 것이다.
이 당선인의 한 측근은 “호남 지역이 전략적 투표를 한다면, 충청 지역은 전통적으로 이익 투표를 해 왔다”며 “수도 이전 공약을 내세운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충청표를 휩쓸었듯 가시적 인사와 정책으로 충청 지역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붉어지고 있는 총리 인선의 가장 큰 변수 또한‘충청’이다. 몇일전 총리직을 거부한 심대평(충남 공주) 국민중심당 대표와 이원종(충북 제천) 전 충북지사, 하마평이 이어지고 있는 정운찬(충남 공주) 전 서울대 총장과 안병만(충북 괴산) 전 한국외국어대 총장 등 후보들 중엔 유독 충청도 출신이 많다.
이 당선자의 이 같은 고민에는 ‘충청도에 관한 아픈 추억’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4년 서울시장 재임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 당선자는 충청권으로의 수도 이전을 극구 반대했던 사람 중에 한명이다.
이때 헌법재판소의 수도 이전 위헌 결정을 이끌어 낸것 역시 이 당선자 였다. 하지만 여야 정치권은 국회에서 수도 이전이 아닌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건설이란 절충안에 합의했고 이에 대해 당시 이 당선인은 “수도 분할은 수도 이전보다 더 나쁘다”고 정치권 전체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후 대선 과정에서는“이미 시작된 이상 행복도시를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며 입장을 바꿨다. 여기서 그는“내가 대통령이 되면 행복도시를 만들지 않는다는 루머에 속지 말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2007년 4·25 선거 때 한나라당 참패 뒤엔 “이명박·박근혜 공동유세 무산이 대전 보궐선거 패배의 원인”이라며 행복도시 반대 전력은 그에게 두고두고 짐이 됐다.
경선 결과도 실망스러웠다. 대전에선 박 전 대표의 절반 득표에 그쳤고, 충청 전 지역에서 참패했다.
이후 이 당선인은 지난해 9월 경선 이후 첫 지방 행선지로 행복도시 예정지를 방문하는 등 11월 말 공식 대선운동도 대전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대선 성적표 역시 만족스럽지 못했다. ‘540여만 표차 대승’이 무색하게 대전과 충남에선 이회창 후보와 박빙의 승부를 벌였다.
한편 지금까지 전국적인 대세론과 사뭇 다른 경향을 보여 온 홍성군을 비롯한 충청권에 오는 4월 9일 치러지는 제18대 총선에 모든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