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홍성군 예산 들여다보기] 장곡·은하·결성·서부·갈산·구항
2025년 홍성군 예산 들여다보기③ 읍·면별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예산
<홍주신문>은 지난호에 이어 올해 홍성군의 예산 편성을 들여다보는 연재를 계속한다. 각 읍면의 대규모 사업의 경우 군청 각 실과 예산에 편성돼 있으며, 이번 호에서는 각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편성된 주민숙원사업 예산만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편집자 주>
장곡면 주민숙원사업에 3억 100만 원
[홍주일보 홍성=오동연 기자] 장곡면(행정복지센터)의 2025년 세출예산은 총 17억 6574만 원으로 2024년 예산액(18억 2324만 원)에 비해 3.15% 감소했다. 올해 예산 17억 6574만 원 중에 정책사업에 7억 4780만 원, 행정운영경비에 10억 1793만 원이 편성됐다.
장곡면 주민숙원사업에는 3억 100만 원이 편성됐다. 이중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추진에 1억 4000만 원이 편성됐으며 상세내용은 △신풍3리 배수로정비(80m) 1700만 원 △화계2 마을안길 포장(120m) 1300만 원 △행정2 배수로 정비(150m) 1800만 원 △산성2 마을안길 정비(60m) 1000만 원 △옥계1 배수로 정비(100m) 1600만 원 △상송3 배수로 정비(80m) 1600만 원 △소규모 생활민원 처리 5000만 원이다.
생활민원사업 추진에는 1억 원, 소규모 재해 관리에는 100만 원이 편성됐다. 주민참여예산으로는 △마을지도 제작 2000만 원 △버스정류장 가는 길 마을쉼터 조성 2000만 원 △월간 장곡소식 발행 2000만 원이 편성됐다.
은하면 주민숙원사업에 3억 7616만 원
은하면(행정복지센터)의 2025년 세출예산은 총 17억 4551만 원으로 2024년 예산액(17억 154만 원)에 비해 2.58% 증가했다. 올해 예산 17억 4551만 원 중 정책사업에 7억 2079만 원, 행정운영경비에 10억 2471만 원이 편성됐다.
은하면 주민숙원사업에는 3억 7616만원이 편성됐고, 이중 소규모 주민숙원 사업 추진 예산은 2억 3900만 원이다. 소규모 주민숙원 사업 추진 내용은 △합천마을 마을안길 정비(20m) 1200만 원 △내동마을 마을안길 정비(70m) 1500만 원 △내남마을 마을안길 정비(40m) 1200만 원 △목현마을 마을안길 정비(95m) 2500만 원 △포항마을 마을안길 정비(130m) 1500만 원 △상가마을 농로포장(180m) 3700만 원 △야동마을 농로포장(70m) 1400만 원 △유송마을 마을안길 정비(540m) 2600만 원 △대천마을 산책로 난간 설치 공사 1000만 원 △유송마을 농로포장공사 1300만 원 △장촌마을 배수로 정비공사 1000만 원 △소규모 생활민원 처리 5000만 원이다.
생활민원사업 추진에는 1억 원, 소규모재해관리에는 70만 원이 편성됐다. 주민참여예산으로는 △은하면민 쉼터조성 1820만 원 △마을 역사 기록과 도서관 조성 1826만 원이 편성됐다.
결성면 주민숙원사업에 3억 9400만 원
결성면(행정복지센터)의 2025년 세출예산은 총 19억 8028만 원으로 2024년 예산액(20억 5900만 원)에 비해 3.87% 감소했다. 올해 예산 19억 8028만 원 중 정책사업에 8억 6447만 원, 행정운영경비에 11억 1580만 원이 편성됐다.
결성면 주민숙원사업에는 3억 9400만 원이 편성됐고 이중 소규모 주민 숙원 사업 추진은 2억 4800만 원이다. 소규모 주민 숙원 사업 추진의 내용은 △원무량마을 배수로 설치(110m) 1300만 원 △원형산마을 배수로 설치(130m) 1300만 원 △신리마을 마을안길 정비(123m)와 배수로 설치(30m) 1500만 원 △원교항마을 배수로 설치(110m) 1000만 원 △용동마을 배수로 설치(50m) 1000만 원 △구수동마을 배수로 설치(156m) 1500만 원 △주교마을 마을안길 정비(77m) 1300만 원 △평산마을 배수로 설치(150m) 1500만 원 △박철마을 배수로 설치(60m) 1200만 원 △좌우촌마을 마을안길 정비(복개공사 36m) 1200만 원 △해동마을 아스콘 덧씌우기(300m) 2200만 원 △덕우마을 마을안길 정비(협약, 36m) 2800만 원 △원형산마을 환경개선 사업(협약, 가로수 식재) 900만 원 △원교항마을 휴게쉼터 설치(협약, 파고라 설치) 2200만 원 △소규모시설 유지관리 1000만 원 △결성 원성곡마을 농로포장 2200만 원 △소규모 생활민원 처리 700만 원이다.
생활민원사업 추진에는 1억 원이 편성됐으며, 주민참여예산으로는 △조롱박 터널 바닥재 교체 4000만 원 △향토문화재 포토존 설치 600만 원이 편성됐다.
서부면 주민숙원사업 2억 8760만 원
서부면(행정복지센터)의 2025년 세출예산은 총 23억 4117만 원이며, 2024년 예산액(25억 1788만 원)에 비해 7.02% 감소했다. 올해 예산 23억 4117만 원 중 정책사업에 11억 7219만 원, 행정운영경비에 11억 6898만 원이 편성됐다.
주민숙원사업에는 2억 8760만 원이 편성됐으며, 이중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추진은 1억 3300만 원이다.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내용은 △장동마을 배수로 정비(2개소, 80m, 30m) 2500만 원 △원중리 마을안길 아스콘 포장(100m) 1700만 원 △능동마을 배수로 설치(2개소 30m) 1000만 원 △신촌마을 배수로 설치(80m) 900만 원 △어사마을 배수로 설치(120m) 1600만 원 △송촌마을 배수로 설치(130m) 2600만 원 △소규모 생활민원 처리 3000만 원이다. 생활민원사업 추진에는 1억 원, 주민참여예산으로는 △세대별 우체통 설치 2210만 원 △세대별 국기 게양대 설치 3250만 원이 편성됐다.
·
·
·
갈산면 주민숙원사업 3억 6100만원
갈산면(행정복지센터)의 2025년 세출예산은 총 20억 4627만 원이며, 2024년 예산액(21억 185만 원)에 비해 2.64% 감소했다. 올해 예산 20억 4627만 원 중 정책사업에 8억 1627만 원, 행정운영경비에 12억 2999만 원이 편성됐다.
주민숙원사업에는 3억 6100만 원이 편성됐고 이중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추진은 2억 6000만 원이다.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추진 내용은 △노동마을 콘크리트 포장(80m) 3000만 원 △구성마을 대기차선 설치(110m) 2000만 원 △쌍천마을 콘크리트 포장(110m) 3000만 원 △목과마을 배수로 정비(240m) 2000만 원 △사천마을 콘크리트 포장(150m) 3500만 원 △취생마을 콘크리트 포장과 안길정비(100m) 1500만 원 △갈산 신기마을 농로포장 3000만 원 △갈산 운정마을 아스콘 덧씌우기 3000만 원 △소규모 생활민원 처리 5000만 원이다.
생활민원사업 추진에는 1억 원, 소규모 재해 관리에는 100만 원이 편성됐다.
구항면 주민숙원사업 3억 2530만 원
구항면(행정복지센터)의 2025년 세출예산은 총 19억 1373만 원이며, 2024년 예산액(20억 7706만 원)에 비해 7.86% 감소했다. 올해 예산 19억 1373만 원 중 정책사업에 7억 525만 원, 행정운영경비에 12억 848만 원이 편성됐다.
주민숙원사업에는 3억 2530만 원이 편성됐고, 이중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추진은 2억 2500만 원이다. 소규모 주민숙원사업 추진 내용은 △황곡마을 배수로 설치 2차(50m) 1700만 원 △봉지마을 배수로 설치 2차(100m) 1105만 원 △공리마을 배수로 설치 1차(60m) 1020만 원 △화리마을 콘크리트 포장(60m) 1530만 원 △남산마을 배수로 설치 2차(40m) 595만 원 △장양마을 콘크리트 포장(60m) 1530만 원 △내현마을 아스콘 포장(180m) 1870만 원 △화산마을 배수로 설치 2차(170m) 1700만 원 △신곡마을 정자 보수 850만 원 △척괴마을 아스콘 포장(250m) 2125만 원 △청광마을 석축 설치(35m) 1700만 원 △소반마을 배수로 설치 공사 2차(100m) 1275만 원 △소규모 생활민원 처리 5500만 원이다.
생활민원사업 추진에는 1억 원, 소규모 재해 관리에는 30만 원이 편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