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피해 극복을 위한 정책간담회’ 개최
“적극적인 ‘석면 퇴출 정책’ 우선돼야” 충남 홍성군, 석면피해 발생률 전국 최고
[홍주일보 홍성=김영정 기자] 충남도가 전국 최대 석면피해 지역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지난달 27일 충남공감마루에서 열린 ‘충남 석면피해 구제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간담회’에서는 석면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충남은 자연발생석면 지역으로 과거 석면광산이 밀집돼 있던 곳이다. 전국 석면피해자의 36%가 충남에 집중돼 있으며, 특히 홍성군은 전국 읍·면·동 중 인구 대비 석면피해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이번 간담회에는 도중원 충남도 환경산림국 대기환경과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예산홍성환경운동연합, 보령·홍성지역 석면피해자들이 참석해 충청남도의 폐석면광산 주변지역 건강영향조사, 피해자 구제급여 지급 관련 지원제도 안내와 함께 피해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정책 제안이 이뤄졌다.
환경운동연합은 석면피해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홍성의료원에 석면검진센터 설치와 호흡기내과 전문의 고용 △석면피해자 힐링캠프 프로그램 개선 △석면피해구제법 개정을 통한 구제금 지급 유효기간 삭제와 인정 질환 확대 △석면전시공간 마련 등의 개선안을 제시했다.
도는 △홍성의료원과 협력해 석면검진센터 설치를 환경부에 건의 △힐링캠프 프로그램 내실화를 위한 환경운동연합과의 협의 △구제급여 개선과 인정 질환 확대를 위해 타 질환과의 비교 와 학계 논문을 확보·검토 △입법 활동에 충남석면피해자모임, 환경운동연합,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와 연대 등을 약속했다. 다만 석면전시공간 마련에 대해서는 지역 반발을 우려하며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고 정책간담회의 정례화를 통한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환경성 석면피해자들의 연령이 고령화되면서 피해자 대응도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에서 방치된 석면슬레이트, 산업현장에서의 사문석 사용 등이 또 다른 석면피해자를 만들고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잠복기가 짧게는 10년에서 최대 40년에 이르는 석면피해를 줄이기 위해 석면의 위험성을 알리고 적극적인 퇴출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