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신도시 주정차 단속 본격화, 질서 확립 vs 상권 위축 ‘엇갈린 시선’
홍성군·예산군 CCTV 단속 돌입… 지역사회 ‘환영과 우려’ 교차 홍성군, 하루 300건 과태료 부과… 예산군은 다음달 본격 시행
[홍주일보 김영정 기자] 내포신도시 일대에서 지난 7일부터 불법주정차 단속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교통질서 확립에 대한 기대와 함께 지역 상권 위축, 주민 불편 등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나오고 있다. 홍성군과 예산군은 각각 고정형 CCTV를 활용한 단속을 시작하거나 준비 중이며, 이에 따라 지역사회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홍성군은 7일부터 내포신도시 전역에서 실제 단속에 들어가 18일까지 총 3696건, 일평균 308건의 주정차 단속을 집계했다. 과태료가 부과된 이 수치는 앞서 지난달 1일부터 29일까지 계도기간 중 적발된 6162건(일평균 212건)과 비교하면 다소 줄어든 것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는 단속 강화에 따라 일부 운전자들이 주정차를 자제하거나, 단속 지역을 회피한 결과로 해석된다.
예산군은 같은 기간 동안 계도 중심의 단속을 시행 중이다. 7일부터 18일까지 일평균 37건(총 259건)의 계도 단속이 이뤄졌으며, 실제 과태료 부과는 다음달 9일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예산군은 단속에 사용될 고정형 CCTV 설치, 각도 조정 등 준비 과정이 마무리되는 대로 본격적인 시행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단속은 내포신도시의 불법주정차 관행을 개선하고,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홍성군 관계자는 “고정형 CCTV 도입으로 교통질서가 개선되고, 보행환경도 한층 나아질 것”이라며 “실제로 일부 구간에서는 차량 흐름과 보행이 원활해졌다는 긍정적 반응이 있다”고 전했으나 단속을 둘러싼 우려도 만만치 않다.
지역상인들은 “주차공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무작정 단속만 강화되면 손님이 줄고 상권이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내포신도시 중심상업지구에는 지하주차장 1499면과 임시공영주차장 317면이 마련돼 있으나, 대부분 상시 만차라는 불만이 이어진다. 일부 상가는 자체적으로 주차 차단기를 설치하고 유료화를 검토하는 상황으로, 상인과 방문객 모두에게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주민들의 불편도 이어진다. 차량 등록 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공영주차장 등 인프라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홍성군과 예산군 모두 주차타워 등 대규모 주차장 건립을 계획 중이지만, 예산 확보와 부지 매입 등의 이유로 단기간 내 현실화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와 관련해 문병오 홍성군의회 의원은 “지하주차장이 충분하다고 하지만, 실제 현장에 가보면 대부분 만차 상태다. 상가마다 차단기를 설치하고 주차비를 부과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경우, 상인과 주민 모두 이중·삼중의 부담을 질 수밖에 없다”며 “기반 인프라 확충 없는 단속은 행정 편의주의에 불과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불법주정차 문제는 단속만으로 해결할 수 없고, 대중교통 활성화와 연계 주차장 확대 등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내포신도시처럼 신도시 단계에 있는 지역은 특히 계획적 주차정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예산군은 비교적 유연한 접근을 취하고 있다. 단속 시행 첫 주 접수된 주민 민원을 반영해 상권 활성화 미진, 아파트 입주 저조 등 예산군만의 특수성을 고려한 단속 유예시간 확대를 검토 중이다.
예산군 건설교통과 관계자는 “무조건적인 단속보다 지역 활성화와 주민 불편 최소화라는 균형점을 찾기 위해 내부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양 군은 문자 알림 서비스 제공, 임시 공영주차장 추가 확보, 거주자 우선주차제 도입 검토 등 보완책도 마련 중이다. 그러나 주민과 상인들은 보다 근본적인 인프라 확충과 행정의 역할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