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개주차장 ‘철거’ 소식에 지역사회는 ‘술렁’
인근 상인들 ‘홍성읍 상권 붕괴와 생계 위협’ 강력 반발 지역구 의원·농축협도 가세… 지역사회 ‘반대 여론 고조’
[홍주일보 홍성=김영정 기자] 30여 년간 홍성읍 원도심 상권을 지탱해 온 ‘홍성천 복개주차장’의 철거가 확정되자, 이에 반대하는 지역사회의 목소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난 1993년 조성된 ‘홍성천 복개주차장’은 전통시장, 명동상가, 병의원 등과 인접해 홍성읍 원도심의 주차 인프라이자 생활 기반시설로 자리해왔다.
그러나 ‘홍성천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 추진과 함께 철거가 예고되자, 지역 상인과 주민들 사이에서는 주차난 심화와 상권 붕괴, 원도심 공동화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복개주차장 철거로 방문객 동선이 길어질 경우, 소상공인의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우려되며, 대체 주차공간 확보나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는 행정 절차에 대한 반발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구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철거 반대 입장을 밝혔으며, 지역 농·축협 조합장들도 뜻을 같이 하기로 했다.
충남도의회 이상근 의원과 홍성군의회 이정윤 의원은 지난 29일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복개주차장 철거 계획의 즉각 중단과 원점 재검토, 그리고 주민·전문가가 참여하는 투명한 공론화 절차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상근 의원은 “복개주차장 철거는 단순한 시설 철거가 아니라 원도심 핵심 상권과 소상공인의 생존권이 걸린 중대한 사안”이라며,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는 행정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지역 언론이 실시한 선출직 도·군의원 대상 철거 찬반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충남도의원 2명은 모두 철거에 반대했고, 홍성군의회 11명 중 5명이 반대, 1명이 찬성, 5명이 입장을 유보했다”며 지역 정치권 내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 “관련 예산이 군의회에 상정될 경우, 부적절한 예산 통과를 막기 위한 신중한 심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정윤 의원도 “복개주차장은 명동상가, 전통시장, 병원, 금융기관 등과 밀접한 핵심 생활 기반”이라며 “철거 시 주차난 악화와 상권 붕괴, 소상공인 피해는 불가피하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그는 “대체 주차장과 병원, 상권 간의 이동거리가 멀어 노인 등 교통약자의 접근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며 “현재 집행부의 계획은 취약계층의 생활 편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정은 군민과 공감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하며, 주민·상인·전문가·의회가 함
께 참여하는 실질적인 공론화 절차와 충분한 대체 주차 공간 마련 없이는 철거를 강행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복개주차장 철거를 포함한 ‘홍성천지구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재해예방 공모사업으로 지난해 최종 선정돼, 오는 2028년까지 약 473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홍성천 약 890m 구간의 하천 정비와 배수펌프장 설치, 교량 재가설, 복개주차장 철거와 친수 공간 조성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연재해 예방과 함께 원도심 재생, 관광자원화를 통한 지역 발전을 목표로 한다.
이와 관련해 이용록 군수는 지난 4일 ‘민선8기 취임 3주년 언론인 간담회’에서 “이 사업의 세 가지 주요 목적은 재해 예방, 원도심 상권 활성화, 관광자원화”라며 “명동상가, 전통시장, 북쪽 당간지주 일대에 600대 이상 규모의 대체 주차장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복개주차장 철거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홍성천 정비와 도시재생, 지역경제 활성화가 주된 목표”라며 “철거는 대체 주차장 조성이 완료된 이후인 2028년 하반기부터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해, 주민 불편 최소화와 공감대 형성 의지를 내비쳤다.
재해 예방과 지역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사업이지만, 복개주차장 철거를 둘러싼 우려 해소를 위해서는 충분한 주민 의견 수렴과 대체 주차 공간 마련, 투명한 공론화 절차가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군과 의회, 주민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홍성군의 향후 행정 방향에 지역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