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농촌 공동체 활성화 위한 광역지원센터 설치 논의
연구모임 제2차 회의·연구용역 중간보고 면(面) 단위 생활 서비스 공백 해소 모색
충남도의회 ‘농촌지역 공동체 활성화 정책 연구모임’(대표 박미옥 의원·국민의힘)은 지난 13일 홍성군 장곡면 오누이다목적회관에서 제2차 회의·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충청남도 농촌 경제·사회서비스 공동체 지원센터’ 설치 △면(面) 단위 생활서비스 공백 해소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연구용역을 맡은 김기흥 아시아농업·농촌연구원 대표를 비롯해 최정선 협동조합 행복농장 이사, 신소희 장곡사회적협동조합 국장, 곽세우 충남도 농업정책과 팀장 등 현장 활동가와 관계 공무원이 참석했다.
중간보고에서는 지난해 제정된 「농촌지역 공동체 기반 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법」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농촌공동체 사례와 함께, 도(道) 단위 통합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광역지원센터의 주요 기능으로 △공동체 교육 및 발굴 △네트워크 구축 △정책지원 플랫폼 설계 △시범사업을 통한 단계별 정책모델 도입 등이 제안됐다.
현장 발표에서는 장곡면 생활돌봄공동체와 사회적농장 ‘행복농장’의 활동이 소개됐다. 도시락 배달, 마을공동식, 생활수리, 이동권 보완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돌봄반장’과 면 단위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하고 있으며, 지역 안에서 자조·돌봄이 선순환되는 구조가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참석자들은 △중복사업 조정 로드맵 마련 △면 단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외부재원 연계 방안 등 광역센터의 구체적 역할과 기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박미옥 의원은 “주민자치는 의제와 합의의 과정이고, 생활돌봄공동체는 실행과 집행의 영역”이라며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소외받는 면 단위 주민들을 위해 역할을 분명히 나누고 연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관련 조례를 제정해 중복사업을 정리하고, 현장 중심의 집행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연구모임은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농촌공동체 광역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면 단위 수요 해결을 위한 현장 교육과 훈련을 표준화해 ‘충남형 농촌공동체 모델’을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