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지역신문 382곳 정부광고 지원 ‘전무’
광고와 기금 모두 ‘그림의 떡’ 정부광고 배제율 무려 38.4%
[홍주일보 한기원 기자] 정부광고를 단 한 건도 배정받지 못한 지역신문이 2025년 9월 기준 382개사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체 지역신문 994개사 중 38.4%에 해당하는 수치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지역언론의 생존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수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공주·부여·청양)은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정부광고 미집행 지역신문 수는 △2021년 199개사(23.8%)에서 △2022년 249개사(27.8%) △2023년 295개사(31.2%) △2024년 318개사(32.7%)로 해마다 증가해 왔다.
또한, 지역신문 발전을 위해 조성된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수혜 대상도 전체 지역신문 대비 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에는 전체 994개 지역신문 중 94개 사가 기금 지원을 신청했으나, 선정된 곳은 67개 사뿐이다.
박 의원은 “경영 건전성, 4대 보험 완납 등 과도한 평가 기준으로 인해 신청조차 포기하는 지역 언론이 많다”고 지적했다.
인터넷 매체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언론진흥기금’ 사업의 경우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총 1300건이 지원됐으나, ‘지역 인터넷 신문’에 대한 지원은 36건으로, 전체의 2.7%에 불과했다.
한편, 박수현 의원은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2026년도 ‘지역신문발전기금’을 2025년 대비 35억 원 증액된 118억 원으로 증액하는 데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그는 “현재도 지역신문발전기금 여유재원이 40억 원, 언론진흥기금 여유재원이 480억 원에 달한다”며 “이 자금을 활용해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요건을 완화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정부광고 배정에서 배제되는 지역언론을 위해 별도 공모사업이나 지원대상사 확대 등의 실질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