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지역대’ 자구책 마련 고심
교육부 대학 정원감축 골자 강력 구조개혁 추진
청운․혜전대 TF팀 구성 특성화 사업 선정 사활
교육부가 최근 대학정원 감축을 골자로 하는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과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시행계획’을 잇따라 발표한 가운데 지역 대학들이 살아남기 위한 특성화 전략을 짜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
지역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오는 2023년까지 10년간 3년 주기로 나눠 대학 정원을 16만명 감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학 구조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들을 평가결과에 따라 최우수-우수-보통-미흡-매우미흡 등 5등급으로 분류하고 등급별로 정원 감축, 정부재정지원사업 참여제한, 국가장학금 미지급, 학자금대출제한, 지속적 퇴출 유도 등 차등적인 조치가 취해진다. 2회 연속 ‘매우 미흡’ 등급을 받는 대학은 퇴출된다.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지원은 전국적으로 60~70개 정도의 지방대가 혜택을 받고 연간 2031억원의 정부 지원금이 지원된다. 교육부는 이 사업을 통해 최대 1만4000명의 입학 정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지방대 특성화 사업 유형은 ‘대학 자율 유형’, ‘국가 지원 유형’, ‘지역 전략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각 전체 사업비의 60%(1150억원), 25%(460억원), 15%(300억원)가 배정된다. 지역별로 4개 권역으로 나뉘어지며 충청권에는 총 567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이같은 움직임에 맞춰 지역대학인 청운대와 혜전대는 기획팀을 중심으로 특성화 사업 전략 등을 구상하는 등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특성화 사업에 선정돼야 한다는 게 지역 대학들의 시각이다.
청운대는 기획팀을 중심으로 TF팀을 꾸리고 각 유형별 특성화 사업을 분석한 뒤 유형별로 사업단을 구성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청운대 관계자는 “정원 감축을 목표로 하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며 “사업에 선정되지 않으면 타격이 큰 만큼 사업 선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혜전대도 기획팀 주도로 TF팀을 구성하고 교육부 정책 분석과 대응을 위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혜전대 관계자는 “자체적인 구조조정과 기관인증평가 등 각종 인증평가를 받고 지표관리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교육부 평가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부의 지방대 특성화 사업이 지방대 정원 감축만 강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일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입학인원이 감소돼 구조개혁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대학의 자구노력 여부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등급을 매겨 강제 퇴출하겠다는 것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17~19일 권역별 사업 설명회를 하고 오는 4월 말 사업 신청 접수를 끝낸 뒤 6월에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