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통합과 시 승격은 별개”
상생발전 위해 통합 논의 필요 시승격은 군의 미래비전일뿐
홍성군은 최근 지역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홍성·예산 통합문제와 홍주시 승격에 대한 예산지역 언론 보도에 대해 성급한 비약으로 빚어진 오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지난 21일 군은 △(도청이 홍성과 예산으로 이전하고 내포신도시가 조성되고 있는 여건에서) 홍성과 예산의 통합은 양 지역의 동반성장과 상생발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이며, △‘홍주시 승격’은 홍성의 미래비전을 밝힌 것으로 양 지역이 통합된다면 자연히 시 승격이 이뤄지기 때문에 ‘통합’과 ‘시 승격’을 혼용해 쓰지만 별개의 사안이라는 설명이다. 군은 김석환 군수가 지난 1일 가진 민선6기 출범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통합이 어느 한 쪽이 한 쪽을 이기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또 그렇게 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양 군의 민·관 교류·협력이 진전되고 연계협력사업 등을 통해 통합의 실효성이 확인되면 차후에 (통합에 대한) 합리적 논의가 진전될 것”이라며 통합에 대해 신중한 의견을 밝혀왔다고 주장했다. 군은 내포지역과 환황해권의 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양 군이 힘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양 군의 ‘통합’도 장기적인 발전전략 속에서 합리적으로 논의가 진전되어야 하지, ‘통합 후의 지명’이나 ‘청사의 위치’ 등 지엽적인 문제를 부각시켜 논의의 시작부터 가로막는 것은 지역 간 상생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홍주시 승격’은 도청이전 등으로 홍성이 충남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민선 6기 동안 시 승격을 위한 기반 마련에 주력함으로써 지역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겠다는 의지를 표한 것일 뿐, ‘통합을 전제로 한 홍주시 승격’을 천명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한편 홍성군은 도시적 산업 종사가구비율이나 재정자립도 등에서 이미 군 단독으로 시 승격 조건에 부합하고 있다. 시 승격 요건인 중 하나인 인구와 관련해 인구 15만 이상 또는 인구 5만명 이상의 읍 1곳 등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상황이나 인구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자체적으로 ‘시 승격’이 논의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정책적 판단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군 관계자는 “홍성·예산 통합과 홍주시 승격이 연결돼 이슈화되고 있는 것 자체가 이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논의가 진전되고 있지 못하다는 방증”이라며 “군에서는 통합을 전제로 한 지역 간 교류가 아니라, 양 지역의 동반성장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민·관의 교류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는 한편, 시 승격 기반 마련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