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해수욕장조성사업 GO? STOP?

환경문제·예산확보 딜레마… 주무부서 ‘곤혹’ 바지락 양식장 보상 부담… 여론수렴 거쳐야

2014-08-28     주향 ·서용덕 기자

김석환 홍성군수의 핵심공약 가운데 하나인 서부면 인공해수욕장 조성사업이 시작도 하기 전부터 딜레마에 빠졌다. 김 군수는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관광사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어촌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남당지구연안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서부면에 인공해수욕장 조성을 공약했다. 국비와 지방비 등 총 63억5000만 원을 투자해 남당리와 어사리 해안변 약 1.2㎞ 구간에 대해 인공해수욕장을 조성하고 생태체험공간, 친수데크 등 해양관광단지화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사업성을 검토한 농수산과에서는 인공해수욕장조성사업을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인공해수욕장 조성을 위해 쌓은 모래가 파도와 조류에 휩쓸려가기 십상인데다, 바다에 쓸려간 모래가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사업대상지 내에 있는 바지락어업권 45㏊와 인근 어사리 바지락 양식장 보상도 큰 부담이다. 실제로 한국관광공사가 85억 원을 투자해 전남 해남군에 조성한 동양 최대 규모의 인공해수욕장인 ‘오시아노 해수욕장’은 준공 이후 파도와 조류에 모래가 쓸려가고 뻘흙이 해변에 쌓이며 정상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80여억 원을 들여 조성한 전남 여수시의 웅천해수욕장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사업성은 차치하더라도 올 하반기에 있을 중앙연안관리심의회 통과여부가 최대 관건이다. 인공해수욕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 심의를 반드시 통과해야만 국비확보가 용이한데 주무부서 조차 사업의 실효성에 의문을 갖고 있어서 통과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재학 수산해양담당은 “타 지자체의 현지조사 결과 해양환경이나 예산확보 등의 문제로 인공해수욕장을 그대로 추진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며 자연해안 복원과 친수공간 조성 등 연안정비사업으로의 변경추진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해 이병국 홍성군의원은 “아직 집행부로부터 전달 받은 사항이 없어 현 시점에서 논하기는 어렵지만 인공해수욕장은 모래가 파도에 쓸려가기 쉬워 어려운 사업으로 알고 있다”며 “많은 예산이 수반되는 만큼 해당지역 주민뿐 아니라 군민 전체를 대상으로 공청회 등 여론수렴 과정을 거쳐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서부면 주민들은 인공해수욕장조성사업 추진에 대해 반기는 분위기다. 신건식 남당어촌계장은 “주민들 사이에서도 해수욕장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어왔고 사업대상지에 양식장 등이 있기는 하지만 옳기면 되는 일”이라며 사업추진을 환영했다. 한편 군은 29일 민선6기 공약사항 실천계획 중간보고회를 갖고 군수공약사업 전반에 걸쳐 논의하게 되는데 서부면 인공해수욕장 조성사업의 향방이 과연 어떻게 잡힐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