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집단에너지시설 연료 일부 변경

사업자, 주민 요구 수용해 LNG 사용 비율 높였다
주민들, SRF 사용량 변화 없고 주민 의문해소 필요

2015-03-13     서용덕 기자


충남도는 지난 10일 도청문예회관에서 내포신도시내 집단에너지시설 관련 민관협의회(위원장 허재영)를 가졌다. 이날 협의회에는 도청 관계공무원 및 집단에너지시설 시행사인 내포그린에너지 관계자, 시설을 반대하는 홍북면 및 예산 삽교읍 지역 주민대책위 대표, 전문가, 방청객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사업자인 내포그린에너지측은 시설 계획 변경을 알렸다. 주요 내용으로는 열병합시설을 기존 SRF(폐기물고형연료) 2기+바이오SRF(펠릿) 1기에서 SRF 2기+LNG 1기로 변경 등이다. 열전용보일러는 기존과 동일하게 LNG보일러 4기다. 이로써 연료비중도 당초 LNG 68%, SRF 22%, 바이오SRF 10%에서 SRF 22%, LNG 78%로 변경됐다.

이 같은 시설변경에 대해 내포그린에너지 정재홍 부사장은 “주민들의 요구를 수용해 적자를 보지 않는 선까지 LNG를 사용하는 것으로 시설계획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여전히 사업에 대해 의문을 표하고 있다. ‘열병합발전시설 건립 결사반대 예산군·홍성군 비상대책위원회’ 박효신 비대위원장은 “LNG 비중을 높였다고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우려하는 SRF 비율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며 “우리의 원칙은 SRF에 대해서 전면 반대이며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주민들의 의문이 해소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 사항에 합의를 하며 협상의 끈을 이어갔다. 이날 협의회에서 허재영 위원장은 집단에너지시설과 관련해 주민들의 의문을 해소할 수 있는 설명회, 타 지역 유사시설에 대한 견학 및 해당 지역민 간담회, 집단에너지시설 규모의 적정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 실시 등을 제안했다. 또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와 별도로 주민들이 3명의 전문가를 선정해 환경영향평가를 검토할 것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허 위원장의 제안을 주민들이 받아들임에 따라 앞으로 내포신도시 집단에너지시설 건립에 탄력을 받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