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 붙박이 된 관용 전기자동차
주행거리 100㎞ 안팎…충전시설 1곳 불과해
투입 예산 대비 활용도 적어 ‘혈세 낭비’
2015-12-04 서용덕 기자
관용차량으로 보급된 전기자동차가 ‘주차장 붙박이’로 전락했다. 주행거리는 잘해야 100㎞ 안팎에 불과한데다 충전소도 홍성에는 군청 밖에 없어 홍성읍을 벗어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홍성군은 지난 2012년 10월말 4500만원(국비 1500만원, 군비 3000만원)과 충전소 설치비 800여만원(전액 국비)을 투입해 K사의 4인승 경형 전기자동차 1대를 도입했다. 이 전기자동차는 16.4kw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50kw의 모터를 장착하고 있으며 1회 충전으로 139㎞를 운행할 수 있다. 완충 시간은 6시간이다. 전기자동차는 배차요청에 따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 중이나 최대 운행거리의 한계로 실제 활용도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일 기준 전기자동차의 총 운행거리는 1만5123㎞로 연간 평균주행거리가 5000km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청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운행거리가 지나치게 짧아 전기자동차 운행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여름과 겨울에는 차량 실내 냉난방에도 배터리가 소모돼 가뜩이나 짧은 운행거리가 더 줄어들어 업무용 차량으로서 활용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전기자동차를 이용해 본 한 공무원은 “소음과 진동이 극히 적어 주행감은 좋지만 운행거리가 너무 짧다”며 “충전소가 많거나 최소한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한 번에 갈 수 있는 수준이 아니면 활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전기자동차 구입비 일부와 충전 시설 설치비용은 국비로 지원되지만 보통 전기자동차 1대당 3000만 원 가량의 지방비가 투입되고 있어 투입된 예산을 감안할 때 활용도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전기자동차 도입초기의 평균 주행거리가 짧고 배터리 충전소 등 전기자동차 운행을 위한 기반시설이 없어 지역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
이와 관련해 군청 관계자는 단거리 출장에 차량을 배차하는 등 전기자동차 활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고 해명했다. 군 관계자는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보급 정책의 일환으로 구입하긴 했으나 현 상황에서는 활용이 어렵다”며 “운행거리 및 충전인프라 등의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추가적인 도입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