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시대 ‘노인들이 위험하다’
70대 노인 23톤 대형트럭 치어 숨져… 지난 해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 22명
노인보호구역 4곳, 턱 없이 부족해… 안전교육·노인보호구역 대폭 늘려야
고령화 사회가 점점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통사고로 인해 노인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노인의 날을 3일 앞둔 지난 달 30일, 홍성읍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려던 한 노인이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농협 하나로 마트와 홍성전통시장 사이 횡단보도 앞에서 70대 할머니가 23톤급 대형트럭에 치어 숨졌다. 경찰에 따르면 할머니가 횡단보도로 이동하기 위해 차도로 내려선 순간 신호가 바뀌면서 트럭운전사가 할머니를 미처 발견하지 못해 큰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 중이다.
현재 홍성군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2만1038명(8월 기준)으로 총인구(9만8632명)대비 21.3%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지난 해 홍성군에서는 교통사고로 인한 노인 사망자수가 22명이었고 올해는 현재까지 15명이다. 노인들은 나이가 들면서 시각이나 청각 등 인지능력이나 대처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교통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안전교육과 고령화시대에 맞춘 노인보호구역을 늘리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충남연구원 재난안전연구센터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교통사고로 인한 고령자 사망자수가 162명으로 전국 5위에 해당한다. 사고유형별로는 횡단 중 사망자수 67명으로 가장 많았고 보도 및 차도, 길 가장 자리 통행 중 발생한 사망자도 다수발생 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에서 발생하는 노인들의 사망 사고의 또 다른 원인으로 이륜차와 농기계 운전 중 일어나는 사고다. 지난 7월 동아일보가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 자문해 2011년부터 최근 5년간의 고령 운전자 사고를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석한 ‘전국 시군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위험도’에 따르면 노인 인구 1만 명당 사망자는 영암군 42명에 이어 영광군 3.9명, 충북 증평군 3.7명, 홍성군 3.2명 순으로 고령화로 인한 농촌의 교통사고 위험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런데도 관내 어린이 보호구역은 30곳인데 반해 노인보호구역은 단 4곳 뿐으로 초고령 사회에 대비하지 않고 있는 홍성군의 한 단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에 어린이보호구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노인보호구역을 노인보호시설을 갖춰 대폭 늘리고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에 대해서 원인분석을 통한 맞춤형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보행속도가 느리고 야간 시력이 낮은 노인들을 위해 반사재 보급, 야광지팡이나 야간 조끼 보급 등도 더 늘리는 등 초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택시업을 하고 있는 김성수 씨는 “지각능력이 부족한 노인들은 행동반경이 좁다보니 운전을 하다보면 자칫 사고로 이어질 뻔 한 위험한 순간이 종종 있다”며 “노인들의 교통 안전 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함께 농촌도로의 보행자 안전시설 설치와 운전자들의 주의가 각별히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2020년까지 안전취약 계층인 노인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노인 안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노인 교통 안전관리 강화 △노인 생활안전 개선 △노인 이용시설 안전관리 강화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