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시대에서 쌀 전성시대로
정부공급 가공용 쌀 30% 가격인하, 쌀 소비량 10%로 확대
2009-08-28 한관우 편집국장
지난해부터 국민들의 쌀 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식품업계에서도 쌀가루가 90% 이상 들어간 쌀면이나 고추장 등 신제품 출시, 수출 확대를 추진하여 시장 규모가 확대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2008년 막걸리 수출액도 442만 달러로 전년보다 52% 증가했다.
그동안 쌀 가공의 기반이 되는 고품질 쌀가루 제조 기술이 아직 미흡하고, 쌀과 쌀가루의 가격이 대체원료인 밀가루에 비해 비싸며, 밀가루에 익숙해진 소비자의 인식 때문에 쌀 가공식품의 소비 촉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핵심적인 제약요인을 타개하기 위해 상품화 기술 확충, 가격경쟁력 제고, 소비 촉진 등에 주안점을 둔 전략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밀가루에게 빼앗긴 시장 찾아라
쌀 가공식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쌀가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규모화된 쌀가루 제분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기존 제분공장의 투자 확대 및 신규 공장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의 가공용 쌀 공급체계를 점진적으로 쌀가루 공급으로 전환, 쌀가루 시장이 활성화 되도록 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제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뜨물을 자원화할 수 있는 시설을 지원하는 시범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쌀의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쌀뜨물은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지만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면 토양개량제 등으로 만들 수 있어 농가에 환원, 화학비료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맛은 기본, 문화의 시대 선도
우선 쌀 막걸리 전용잔 개발로 우리 술의 고급화 ․ 세계화를 시작한다. 식기가 음식 맛을 좌우하고 술잔이 술맛을 좌우하므로 플라스틱 잔이 아닌 제대로 된 잔에 마셔야 막걸리도 품격이 올라가고 세계화도 가능하다. 쌀 막걸리 전용 잔을 개발, 상품화를 통해 전국에 보급하고 품목별, 소비대상별로 쌀 가공식품의 소비를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쌀 1% 들어가면 쌀국수? 밀가루국수?
앞으로 쌀 함량비율이 일정 수준 이상 되어야 제품명에 쌀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할 계획이다. 현재는 쌀 함량 비율이 1%이더라도 제품명에 쌀국수, 쌀라면 등으로 표시가 가능하여 소비자가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면 쌀이 많이 들어간 제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다. 다만 제품의 제조기술상의 한계 등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추진여부를 결정토록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