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공1단지 통합경비시스템 도입 의혹, 주민 반발

주민들, 자체관리규약 무시하는 전 입주자대표회의 즉각 해명하라
전 입주자대표회, 4개 업체 입찰 참여…주민 70% 이상 찬성 받아

2010-07-12     이은주 기자


남장리 주공 1단지 아파트는 지난 해 3월 초 단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 등 각종 위험에서 입주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아파트 내부에 4억 6000여만원을 들여 100여대의 무인카메라와 관제소 등 통합경비시스템을 설치했다. 하지만 이 통합경비시스템이 도입초기부터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며 일부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주민 이 모씨는 "4억이 넘는 금액을 들여 설치한 방범시스템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는 차량파손 등 각종 위험에 대해 전혀 파악조차 안되고 있는 상태로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또 다른 주민 전 모씨는 "현재 설치된 통합경비시스템의 허술하게 설치돼 부실한 현관 출입문과 시야확보조차 돼지 않는 무인카메라(CCTV) 등 문제점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며 "이는 통합경비시스템 추진 당시부터 입주민들을 상대로 공청회 및 설명회를 최대한 개최하고 입주민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2008년 8월 29일 KT의 협력업체인 세코에서 유일하게 단 한번의 사업 설명회만으로 진행됐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주민들은 이에 대한 증빙자료를 제시하며 계약서에 체결한 날짜(2008년 9월 12일)와 형식적인 공개입찰이후 입주민들에게 알린 업체 선정 및 계약 날짜(2008년 9월 28일)가 다르다며 아파트 관리규약을 무시한 채 수의 계약을 하고 입주민을 기만하고 속여가면서 업체를 선정한 이유가 무엇인지 밝히라고 요구했다.

또한, 2008년 9월 12일 계약 이후 공사 완공기한 지연으로 인한 지체상금 배상 책임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이는 관리규약 제70조 2항 6호에 위반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주민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동안 전 입주자대표회의에 대화와 공청회를 요청했으나 응하지 않아 지난 해 10월 입주민들의 뜻을 모아 검찰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입주자대표회의는 "업체선정과정은 공개입찰을 실시해 최종 업체를 선정했다"는 진술로 검찰의 진정서 사건 조사과정에서 혐의 없음으로 내사 종결됐다.

이에 주민들은 입주자 대표회의가 입주민을 비롯해 검찰까지 속이고 있다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아파트 단지 내 현수막과 피켓을 걸고 집회를 시작했다.

이에 대해 전 입주자대표회의 김원태 회장은 "계약서에 체결한 날짜가 다른 것은 KT 측에서 내부 행정절차 상 계약 일을 18일로 해줄 것을 요구해 들어준 것"이라며 실제 계약일은 28일이라고 밝혔다. 또한, "입찰당시 네 곳의 업체가 입찰에 참여했으며 주민 70% 이상의 찬성을 받아 진행한 것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부 주민들이 요구하는 공청회에 대해서는 언제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의사가 있다고 말하면서 정당한 절차를 거쳐 공청회를 개최한다면 언제든 참석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