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름 밥상으로 새해 건강 챙기자
2011-02-11 박완준 기자
◆정월 대보름의 풍속
정월 대보름 풍속으로는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새해를 맞이하여 신성의례와 건강하고 풍요로움을 기원하는 다양한 제의(祭儀)와 점세(占歲) 및 놀이가 행해진다. 농촌에서는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 후로 하여 동제(洞祭)를 지낸다. 가가호호 성의껏 경비를 각출하여 제비를 마련하고,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을 선출하여 풍요로운 생산과 마을의 평안을 축원하는 것이 바로 동제인 것이다. 또한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놀이로 줄다리기를 들 수 있다. 볏짚을 이용하여 암줄과 숫줄을 만든 후에 마을단위 또는 군단위로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당기게 되는데, 암줄이 승리를 해야 풍년이 든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밖에도 풍농을 기원하는 풍속으로 지신밟기가 있다.
지신밟기는 정초부터 대보름 무렵에 마을의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흥겹게 놀아주고 축원해주는 것을 말하는데, 지역에 따라서 마당 밟기, 매귀(埋鬼), 걸립(乞粒) 등으로 불리운다. 이와는 달리 개인적인 의례로서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면 부스럼 깬다하여 밤, 호두, 땅콩 등을 깨물며 일년 열두 달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축원한다. 또 아침 일찍 일어나 사람을 보면 상대방 이름을 부르며 '내더위 사가라'고 한다. 이렇게 더위를 팔면 그 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아이들은 대보름날이 되면 '액연(厄鳶) 띄운다'고 하여 연에다 '액' 혹은 '송액' 등을 써서 연을 날리다가 해질 무렵에 연줄을 끊어 하늘로 날려 보냄으로써 액막이를 한다.
대보름날 밤에는 달맞이 풍속이 있다. 달맞이는 초저녁에 높은 곳으로 올라서 달을 맞이하는 것을 말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길하다고 한다. 달집 태우기 풍속도 대보름날 밤에 행해지는데, 횃불싸움과 쥐불놀이 등과도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짚이나 솔가지 등을 모아 언덕이나 산 위에서 쌓아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른다. 피어오르는 연기가 더불어 달을 맞이하고, 쥐불놀이와 더불어 이웃마을과 횃불싸움을 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볏가릿대 세우기. 복토 훔치기, 용알 뜨기, 다리 밟기, 곡식 안내기, 사발점, 나무그림지점, 달붙이, 닭 울음점 등이 있다. 대보름날에 행해지는 놀이로는 사자놀이, 관원놀음, 들 놀음과 오 광대 탈놀음, 석전, 고싸움, 쇠머리대기, 동채싸움 등이 있다.
◆정월 대보름의 시절음식
대보름날의 절식(節食)으로는 햅찹쌀을 찌고, 또 밤, 대추,꿀, 기름, 간장 등을 섞어서 함께 찐 후 잣을 박은 약반(藥飯)을 준비한다. 이 약반은 지방에 따라 오곡밥, 잡곡밥, 찰밥, 농사밥 등을 그 대용으로 즐기기도 한다. 대보름날엔 세 집 이상의 다른 성을 가진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며, 평상시에는 하루 세 번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해서 틈틈이 여러 번 먹는다. 또 대보름의 절식으로 복쌈이 있는데, 이는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추 잎 등에 싸서 먹는 풍속을 말한다. 복쌈은 여러 개를 만들어 그릇에 노적 쌓듯이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 다음에 먹으면 복이 온다고 전한다. 그리고 대보름에 '귀밝이술' 이라는 풍속이 있다. 동국세시기에는 청주 한 잔을 데우지 않고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 이것을 귀밝이술이라 한다. 그리고 요즘에는 보름나물을 즐겨 해 먹는데 나물의 종류로는 고사리나물, 도라지나물, 시래기나물, 호박고지나물, 가지고지나물, 무나물, 콩나물, 취나물, 고구마줄기 나물 등을 준비하여 먹는다.
오곡밥 재료
찹쌀 ▷2컵, 멥쌀 ▷1컵, 팥 ▷1/4컵, 밤 콩 ▷1/4컵, 조 ▷1/4컵, 수수 ▷1/2컵, 밤 ▷10개, 대추 ▷10개, 소금 ▷1작은술, 밥물 ▷2 3/4컵
◆ 준비하기
▷ 오곡 준비하기
○ 밤콩은 전날 저녁 씻어서 물에 담가 불린다.
○ 찹쌀과 멥쌀은 밥짓기 약 30분 전에 씻어서 물에 불렸다가 건진다.
○ 수수는 여러 번 씻어서 30분~1시간쯤 물에 담가두어 붉은 물을 우려내고 떨은 맛을 없앤다.
○ 조는 밥을 짓기 바로 직전에 씻어 건진다.
▷ 팥 삶기
○ 씻은 팥을 남비에 넣고 물을 넉넉히 붓고 삶는다.
○ 끓어 오르면 첫물은 따라 버리고 다시 3컵쯤 물을 붓는다.
○ 팥알이 터지지 않을 만큼 1시간 정도 삶아 팥을 건져놓고 팥 물은 따로 두었다가 밥물로 쓴다.
▷ 밤
밤은 껍질에 상처가 없고 깨끗한 것으로 구입하여 껍질을 벗겨서 준비하거나 슈퍼에서 껍질을 벗겨서 포장하여 파는 밤을 준비한다.
▷ 대추
대추는 빨간 빛이 진하고 껍질에 윤기가 있는 중간 크기의 것을 고른다.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마른행주로 닦아 물기를 없앤다.
◆ 요리하기
▷찹쌀과 멥쌀은 3시간 이상 불려 체에 건져 놓는다.
▷팥은 돌을 골라 내고 깨끗이 씻은 다음 20배 분량의 물을 부어 3분간 끓인 후 물은 따라 버린다.
▷팥에 물을 다시 부어 팥알이 터지지 않을 정도로 삶는다.
▷밤 콩은 돌을 일어 하루 저녁 정도 불린다.
▷조는 돌을 일어 내어 밥을 하기 직전에 씻는다.
▷수수는 따뜻한 물을 부어 돌을 일어내고 붉은 물이 나오지 않게 박박 씻어 불린다.
▷밤은 껍질을 벗겨 4등분으로 썰고 대추는 굵기가 작은 것으로 준비한다.
▷모든 곡식은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뺀다.
▷바닥이 두꺼운 냄비나 솥에 위의 곡식들을 넣고 분량의 밥물을 붓는다.
▷ 밤과 대추도 넣고 분량의 소금을 넣어 밥을 짓는다. 밥이 끓을 때까지는 강 불로 그 다음부터는 중 불, 약 불, 뜸들이는 불의 순으로 조절하여 밥을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