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희생된 61명의 영령들을 추모하는 위령제 열려

정부와 국회 상대로 진실규명과 명예회복 요구

2011-06-30     최선경 편집국장


홍성지역 민간인 학살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위령제가 지난 27일 홍북면 용봉산 입구 학살 현장에서 유족과 서준철 홍성군 자치행정과장을 비롯한 지역인사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새홍성교회 유요열 목사 사회로 진행된 이날 위령제는 김유영 갈산성결교회 목사의 설교로 예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황창섭 서무국장의 경과보고, 김석환 군수를 대신해 서준철 과장이 추모사를 했으며 한국전쟁유족회 상임대표 김종현 대표의장 대신 유족 대표 이종민 씨가 추모사를 읽었다.


이어 홍성군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 황선항 회장은 “2006년 민간희생자 진실규명 신청서가 처음 접수돼 홍성군에서는 20여 유족만 신청해 가슴이 아팠으나 2009년 진실화해위원회의 요청에 의거 홍성군에서 재조사하여 500여명의 희생자 유족이 신청해 유족회를 구성하고 이렇게 위령제를 지내게 됐다”며 “연좌제 등으로 제대로 취직 한번 못해보고 분하고 억울했지만 이제부터 마음의 문을 열고 용서와 관용을 베푸는 유족이 되자”고 밝혔다.


국민보도연맹사건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국군·경찰 등에 민간인이 집단 희생된 사건으로 이승만 정권 아래 1949년 4월 21일부터 좌익 권력자들을 사상적으로 개조한다는 취지로 국민보도연맹이 결성돼 이들 연맹원들이 한국전쟁 중 북한정권에 동조해 정부를 전복할 것을 우려, 집단으로 사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이승만 대통령과 정부는 7월 1일 부산으로 피난가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7월 11일 홍북면 신경리 용봉산 기슭에서 61명을 집단 처형했다.
한편 유족회는 “국가는 과거 국가 권력이 불법적으로 민간인을 살해한 것에 대하여 희생자 유족을 비롯한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것이 필요”하며, “위령비 건립, 위령제 봉해 등 희생자에 대한 위령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공공기록물 등재와 제적부 가족관계 등록부의 정정, 평화인권교육을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유족 측 관계자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향후 지역단위 전체 피해를 파악하여 지역사회 화해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을 권고했으나 계획조차 입안되지 않고 있어 통탄을 금할 길이 없다”고 말하며 “이번 기회를 통하여 유족들의 반세기 한인 억울한 죽음에 대해 해원할 수 있도록 홍성군과 의회에서도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