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대 - 홍성군 - 인천시, 공존·상생 방안 찾자”
청운대특위, 인천시에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 항의 방문
2011-07-21 최선경 편집국장
홍성군의회 청운대이전반대대책특별위원회(위원장 이두원·이하 청운대 특위)는 청운대학교 인천지역 제2캠퍼스 신설과 관련하여 지역주민의 여론과 이전의 부당성을 알리고자 지난 19일 인천시의회 김기홍 제1부의장과 면담 방문을 실시하고 인천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실시했다.
청운대특위는 청운대가 지난해 인천 청라지구로 제2캠퍼스를 옮기려고 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 인천시와의 협의 미비 등으로 사업예정지를 도화지구로 계획 변경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특위활동을 펼쳐 청운대 제2캠퍼스 조성을 저지한다는 계획이다.
청운대특위는 “청운대 제2캠퍼스가 신설되는 것은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도 맞지 않는 것이며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 지역만 살고 상대적으로 작은 지방도시는 더욱 소외시 되는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으며 청운대 제2캠퍼스 조성시 대학 주변 경제의 어려움은 물론, 홍성 경제의 큰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지역사회와 함께 청운대 이전 반대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인천시의회 김기홍 부의장은 “청운대가 인천지역 산업체 15개소 1000여명을 분산 위탁 교육하고 있는 실정에서 인천대가 나간 자리에 이전하여 한 곳에 모아 집중해서 교육하는 것을 인천시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예전 안상수 시장과 MOU를 체결한 것이지 아직 송영길 시장과 MOU를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받았다. 홍성군의 입장을 전달받았으니 집행부에 의견을 전달하겠으며 앞으로 청운대와 홍성군, 인천시가 공존·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자”고 말했다.
이에 이두원 청운대특위 위원장은 “산업체 교육에만 국한된다면 얼마든지 군민들 입장에서 협조할 수 있다. 그러나 홍성에 있는 9개 학과 2000여명이 옮겨온다는 것이 문제다. 청운대는 산업대의 형식만 가지고 있을 뿐 학생들은 근로자가 아니며 일반대와 다를 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홍성군의회는 국토균형발전을 저해하는 인천시의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김원진 의장은 “인천시가 구도심 공동화 방지와 산업대 유치가 행정적·경제적으로 중요하듯이 홍성군 역시 청운대가 홍성군의 행정과 경제, 문화를 위해 중요하다”며 인천시가 각종 지원책을 통해 청운대 제2캠퍼스를 유치하는 것은 결국 자신들의 문제 해결을 위해 홍성군을 죽이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김 의장은 “인천시가 부지의 실감정가만 2380억원인 (구)인천대 부지와 건물을 10년 분할하는 조건으로 677억원에 청운대에게 매각하겠다고 밝힌 특혜에 가까운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에 대해 반대의사를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또 “충분한 홍성군민들의 의견수렴과 토론없이 유치를 강행한다면 군민들의 뜻을 받아 군의회가 직접 반대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전을 막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송영길 인천시장에게 “더 이상 일방적인 청운대 제2캠퍼스 유치 행정을 중단하고 홍성군민들의 입장에 귀 기울여야 한다”며 “전 정권의 핵심 실세로서 국토균형발전을 주장했던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인천시의회에 대해서는 적자에 허덕이는 인천도시개발공사가 수천억원을 들여 다른 지역에 있는 사립대 제2캠퍼스를 유치하는 것은 예산의 집행 측면에서도 맞지 않다며 청운대 이전 양해각서 체결에 대해 승인을 보류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한편 이날 오후 2시에 진행된 인천시도시계획국 이일희 국장과의 면담에서 김정문 청운대특위 부위원장은 “인천시와 홍성군이 함께 잘 살 수 있는,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간절한 마음으로 작은 자치단체가 위기를 느껴서 호소하러 왔다. 홍성읍내 4만여명 가운데 청운대생 6000명은 절박하나 인구 300만의 인천시에겐 아무런 보탬도 되지 않을 것”이라며 “학부 이전이 아닌 산업체 전문교육기관으로만 이전해 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에 인천시 도시계획국 이일희 국장은 “청운대가 오려는 배경과 인천시의 입장이 어느 정도 맞았다. 도하지구내 인천대 건물을 철거하기 어려워 차라리 산업체 교육위탁생을 한 곳으로 모으자는 것이 청운대와 인천시의 큰 틀이다. 아직 어떠한 조건이나 대금 등을 논의하지 않았으며 MOU를 체결하지도 않았다. 앞으로 인천시가 홍성군의 주장처럼 뭔가 뺏어오는 듯한 행정은 하지 않을 것이며 즉각 중단하라는 것은 무리이지만 치밀하게 참고해서 추진하겠다. 홍성군과 인천시가 윈윈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청운대특위는 앞으로도 청운대와의 간담회 개최, 일간지 등의 홍보 광고 등 다각적인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