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의병추모탑이 대교공원에?! ‘갈팡질팡’

홍성군 행정 ‘무조건 추진하고 보자’ 첫단추부터 잘못 ‘예산만 낭비’
의회, 홍주의사총에서 대교공원으로 이전설치 두고 전면 재검토 요구

2011-07-28     김혜동 기자

홍성읍 오관리 홍주의사총 내부에 홍주의병추모탑을 세우려던 군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지난 25일 열렸던 제195회 임시회에서 홍성군청 문화관광과 홍성만 과장은 “홍주의병추모탑을 본래 계획에 있었던 홍주의사총에 세우는 대신 맞은편 대교리 대교공원내에 이전 설치하는 것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혀, 임시회에 참석한 의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애초에 홍성군은 홍주의병추모탑 건립에 국비 4억6400만원, 도비 3억, 군비 7억3500만원의 총사업비 약 15억원을 투입해 높이 19m의 탑 형태로 의사총내에 설립한다는 계획이었다.

때문에 홍성군은 지난해 4월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회의 자문을 받아 2010년 6월에 추모탑 디자인을 제안·공모했고, 같은 해 8월 공모된 작품의 심사를 거쳐 2010년 10월에는 공모작에 대해 계약을 체결하고 실시설계에 착수한 바 있다.

홍성군에 따르면 공모 당시 홍주의병추모탑은 청해조형연구소의 ‘호국·충절·추모의 비’로 결정됐고, 홍주의병의 거병 연도인 1895년과 1906년을 상징하는 두 개의 기둥으로 된 탑신을 배치해 탑신 전면에는 홍주의병 인물상을, 후면에는 항일의병을 부조된 형태의 디자인이었다.

이후 홍성군은 문화재지정구역 내에 인공조형물을 설치하기에 앞서 공모에 선정된 추모탑에 대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문화재청에 신청했으나 부결됐다.

홍주의병추모탑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 문화재 주변경관을 저해할 우려가 높고, 탑신부의 금속재질도 전체적으로 위화감을 준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이에 홍성군은 1차 심의에서 부결의 원인으로 지적받은 탑의 높이를 9m로 재조정하고, 탑신부의 금속재질도 원래 디자인에서 제외시켜 지난 6일 문화재청에 사업계획 수정 및 재심의 신청을 했으나, 1차에서와 같은 이유로 재차 부결됐다.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국 보존정책과 담당자는 “기본적으로 문화재지정구역 내에 주변경관을 조금이라도 훼손할 소지가 있는 건축물, 조형물 등에 대해서는 승인이 떨어질 수 없다”며, “문화재위원회에서는 탑보다는 부벽(부조형태의 벽면)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문화재보호구역내에 인공조형물 설치를 꺼릴 뿐더러, 탑의 형태보다는 홍주의병의 활약상을 부조로 표현한 부벽을 세우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이 문화재위원회의 최종입장인 것이다.

홍성만 문화관광과장은 “본래 높이에서 9m로 줄어든 것도 나름의 큰 변화를 주었던 것이고, 9m는 홍주의사총에 묻힌 900명의 의병을 대표하는 숫자”라며, “9m이하로 높이를 낮춘다면 탑의 본래 의미가 많이 퇴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홍 과장은 “홍주의사총 맞은편의 대교공원은 홍주의사총과 가까워 의사총을 찾은 참배객들을 자연스레 유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큰 도로 옆에 위치해 있어 추모탑이 들어선다면 일대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추모탑 이전·설치의 적합성을 강조했다.

한편 의원들은 대교공원에 추모탑을 설치하는 것은 추모탑의 기본적인 기능과 의미를 전면적으로 퇴색시키는 결정이라며, 추모탑 설치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한다고 질책했다.

오석범 의원은 “공모를 통해서 19m의 추모탑을 선정한 것인데, 9m로 디자인을 수정한 것부터 공모의 의미가 없어진 것이 아니냐”며, “추모탑은 서둘러서 사업을 추진해야 할 만큼 시급한 사안은 아니었으나 서둘러서 추진했기에 이런 문제점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오 의원은 “문화재청의 심의도 떨어지지 않았는데 공모작에 대해 계약을 한 것이 지금 논란의 빌미를 제공한 것”이라며, “2차에 걸쳐 부결된 사안이라면 사업을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홍성군청 문화관광과 담당자는 “이미 공모를 통해 작품을 선정했고 계약까지 체결한 상태에서 원점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행정절차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조형물의 기본적인 형태를 바꾸는 것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비췄다. 때문에 현재로써의 제2의 대안으로 대교공원이 선택된 것이고, 보다 나은 대안이 제시되지 않는 한 변경된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