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의병추모탑, 머물 곳은 어디? 갈 곳 잃고 ‘표류’

지난 6일 의원간담회 현장방문서 대교공원 이전설치안 부결, 논란 가중

2011-09-08     김혜동 기자

의원들, “홍주의사총 맞은 편 천주교 홍주 순교성지 인근이 적합하다”
주민들, “홍주의병 애국정신 퇴색시키는 일, 거꾸로 가는 행정 아닌가”


홍성읍 오관리 홍주의사총 내부에 들어설 계획이었던 홍주의병추모탑이 이미 예산이 집행되어 공모선정자에 의해 제작되고 있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위치가 정해지지 못해 이리저리 표류하는 웃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애초에 홍성군은 홍주의병추모탑 건립에 국비 4억6400만원, 도비 3억, 군비 7억3500만원의 총사업비 약 15억원을 투입해 높이 19m의 탑 형태로 의사총 내에 설립한다는 계획이었다.
때문에 홍성군은 지난해 4월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회의 자문을 받아 2010년 6월에 추모탑 디자인을 제안·공모했고, 같은 해 8월 공모된 작품의 심사를 거쳐 2010년 10월에는 공모작에 대해 계약을 체결하고 실시설계에 착수한 바 있다.

이후 홍성군은 문화재지정구역 내에 인공조형물을 설치하기에 앞서 공모에 선정된 추모탑에 대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문화재청에 신청했으나 부결됐으며, 1차 심의에서 부결의 원인으로 지적받은 탑의 높이를 9m로 재조정하고, 탑신부의 금속재질도 원래 디자인에서 제외시켜 문화재청에 사업계획 수정 및 재심의 신청을 했으나, 1차에서와 같은 이유로 재차 부결됐다.



이에 홍성군은 홍주의병추모탑을 본래 계획에 있었던 홍주의사총에 세우는 대신 대교리 대교공원내에 이전 설치하는 것을 검토하며, 추모탑의 설치장소를 두고 논쟁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
이에 군의원들은 “대교공원에 추모탑을 설치하는 것은 추모탑의 기본적인 기능과 의미를 전면적으로 퇴색시키는 결정”이라며, “추모탑 설치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한다”고 질책했었으나, 홍성군은 지난달 30일 의원간담회를 통해 홍주의병추모탑을 기념탑으로 명칭을 변경해 대교공원에 설치할 것을 제안했고, 지난 6일에는 군의원들이 대교공원 예정부지를 방문하기에 이르렀다.




군민 여론 수렴 과정 거쳐야
그러나 이날 현장방문에서 의원들은 대교공원보다는 홍주의사총과 보다 가까운 천주교 홍주 순교성지 주변을 낙점해 홍주의병추모탑의 위치행방이 또 다시 묘연해졌다. 또한 홍주의병추모탑의 명칭 또한 원안대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홍성군의회 김원진 의장은 “애초 의회에서 예산승인을 할 당시 홍주의병추모탑이라는 명칭으로 승인을 했고, 대교공원에 기념탑으로 세우는 것은 처음 취지와는 전혀 부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의장은 “홍주의병추모탑을 홍주의사총 안에 세울 수 없다고 해서 홍주의병 주둔지까지 고려했으나 접근성이 떨어진다”며, “홍주의사총안에 세울 수 없다면 이미 제 역할을 다 하고 있는 대교공원보다는 홍주의사총 바로 맞은편의 천주교 홍주 순교성지가 적합하다. 홍성군에서 부지를 매입한다면 홍주 순교성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추모탑을 세울만한 자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대교공원은 군민들에게 이미 공원자체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기에 굳이 대교공원에 추모탑을 세울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로써 홍주의병추모탑은 홍주의사총, 대교공원, 천주교 홍주 순교성지 등으로 머물 곳을 찾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는 상황에 처하고 말았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군민들은 의문을 감추지 않았다. 홍성읍의 최모 씨는 “홍주의병추모탑의 위치를 두고 이런 저런 말들이 많은 것은 결과적으로 홍주의병의 애국정신을 퇴색시키는 일”이라며, “처음부터 위치를 확실히 정한 후에 공모를 하고 탑을 제작하는 것이 순리에 맞는데, 이런 것이 바로 거꾸로 행정이 아니겠나. 더욱이 민감한 사안인 만큼 위치선정은 군에서 일방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주민공청회 등을 통해 군민들의 여론을 수렴해 군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지역사랑과 군정에 대한 신뢰로 이어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홍성군은 홍주의병추모탑의 위치선정이 뒤늦게 난항에 빠지자 다소 난감해 하는 기색이다.
홍성군청 문화관광과 관계자는 “천주교 홍주 순교성지의 경우 당초 홍주의병추모탑의 위치선정에서 여러 안 중 하나로 거론이 됐었지만, 부지가 좁아 고려대상에 제외됐다”며, “내부회의를 거쳐 추모탑의 위치를 결정하고, 차후 의원간담회를 통해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