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지역발전 불균형 ‘심각’

충남발전연구원, “지역기반산업 활성화, 상향식 지방화, 거버넌스 구축 필요”

2011-12-15     김혜동 기자

충남발전연구원(원장 박진도, 충발연)은 13일 대전레전드호텔에서 충남의 내발적 발전 전략 모색을 위한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구본충 충청남도 행정부지사를 비롯, 충남도의회 의원, 각계 전문가, 연구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오전 1부 순서에서는 20건의 전략과제 중 지역의 내발적 발전 전략과 연계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6개 과제를 발표했다. 그리고 오후 2부에는 연구원 내외에서 제안된 총90건 중 1차 심사를 통과한 22건을 대상으로 내년도 전략과제 선정을 위한 심의를 진행했다.

오전 1부 행사에서 진행된 발표에서는 충남발전연구원 여형범 책임연구원(내발적 발전의 관점으로 본 충남 지역발전의 과제)은 “충남 지역이 전체적으로는 성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 성과는 일부 지역에 국한될 뿐 충남 전체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으며, 생산의 증대 역시 고용 및 소득으로 파급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내발적 발전은 지역 주체들이 지역에 닥친 문제를 지역의 자원으로 풀어가자는 것인 만큼, 기반구축 및 활성화, 제도적 동력들(지역기반산업 활성화, 상향식의 지방화, 인식과 성과의 확산 노력, 거버넌스 체계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오용준 연구위원(충청남도 도시형 마을만들기의 정책방향과 추진과제)은 “충남은 도시형 마을만들기 정책 추진에 대한 전문가 의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82.2%가 ‘매우 필요하다’고 답하는 등 ‘동네’라는 지역공동체를 통해 충남의 민선 5기 비전인 지방분권과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중요 촉매제로 삼고 있다”면서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조영재 연구원(충청남도 희망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추진모형 및 실천전략)은 “본 연구는 충청남도 희망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정책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마을만들기의 모형 개발과 실천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며, “마을만들기 추진전략은 행정이나 공공기관에서 마을만들기를 정책화시키기 위한 ‘정책화 전략’과 농어촌마을에서 실제 마을만들기를 적용하고 추진하기 위한 ‘마을추진전략’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임준홍 연구원(충남 사회적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은 “충남의 사회적경제 조직들의 연 매출액은 평균 2억원 정도로 많지 않고, 일자리도 기업당 10개 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지역민 고용률이 90.3%, 특히 취약계층고용 20.5%, 여성고용 48.8%로 높아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과 계층 간 연대·통합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들은 제품 생산을 위한 원재료의 93.6%를 지역 내 상품으로 구매하고 있고, 지역의 다양한 조직과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등 단순한 경제활동 이상으로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강조했다.

허남혁 연구원(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연구)은 로컬푸드의 활성화 방안으로 “우선 다양한 로컬푸드 시장과 로컬푸드 비시장(텃밭, 가공, 요리 등) 영역 모두가 균형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자 연계와 소비자 연계의 강화-농가가공, 도시농업, 친환경·지역순환농업, 사회적경제, 도농교류 정책의 활성화 △로컬푸드 시장 강화-중앙집중적 유통구조의 개선과 지역유통의 활성화, 상품의 다양화 등 △로컬푸드 제도의 뒷받침-생산자·사업자·소비자의 시장 참여를 늘리고 참여자들의 의식을 강화하며 이들과의 거버넌스, 네트워킹, 정보교류, 교육·인력양성, 연구조사, 캠페인, 컨설팅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신동호 연구위원(고용정책 개선을 위한 지역노동시장 분석 연구)은 “충남은 고학력·청년층·고숙련 노동력을 유인하는 전략과 여성·고령자·저숙련 노동력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고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투트랙 전략이 병행되어야 한다”면서 “지역 간 일자리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의 특성을 살린 사회적 기업이나 맞춤형 일자리 사업이 주요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노동수요의 증감을 예상한 체계적 교육 훈련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충발연 관계자는 “내년도 전략과제는 12월 말 심사위원회를 거쳐 최종 선정되며, 비록 심사에서 탈락한 과제라 할지라도 연구성격에 따라 현안과제, 수탁과제, 연구조성사업 등으로 분류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진도 충남발전연구원장은 “앞으로 연구원의 전략과제가 도 및 시·군정을 선도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