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계출산율 0.92명, 저출산·고령화 심해
상태바
합계출산율 0.92명, 저출산·고령화 심해
  • 한기원 기자
  • 승인 2023.05.18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0.78로 역대 가장 낮은 수치 기록
홍성군 합계출산율 0.92명, 충청남도 0.91명의 평균치는 웃돌아
인구와 출산율 감소, 곧바로 지역 소멸·침체의 신호탄으로 작용

홍성을 비롯한 충청지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 동향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국내 합계출산율은 0.78로 역대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OECD 국가 중 최저치의 인구 출산율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0.78’은 지난 1981년 합계출산율 2.57명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며, 지난 2018년 ‘1’ 이하로 떨어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은 가임기(15~49세) 여성이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

충청지역의 출생률 수치는 수십 년 전부터 점진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 충청지역의 합계출산율이 1.5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8년 대전지역의 합계출산율이 0.95를 기록하며 충청권에서는 최초로 ‘1’ 이하로 하락했다. 2020년에는 충북지역 합계출산율이 0.98로, 2021년에는 충남지역 합계출산율이 0.96으로 나타나면서 차례로 하락추세를 보였다.

충남지역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91명(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6위)으로 전년보다 5.7% 감소한 수치이며, 출생아 수는 1만 200명으로 전년 대비 7%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 수치에서 충남은 950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의 합계출산율은 △서산시가 1.21명 △당진시는 1.11명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어 △보령시 0.97명 △서천군 0.96명 △홍성군 0.92명 △청양군 0.90명은 충남도의 평균치에 근접하거나 약간 높게 나타났다. 반면 △계룡시 0.89명 △태안군 0.89명 △논산시 0.88명, △금산군 0.87명, △천안시 0.84명, △예산군 0.83명 △부여군 0.75명은 모두 평균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인구와 출산율 감소는 곧바로 지역 소멸과 침체의 신호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단의 대책 등이 요구되고 있다.

충청지역의 합계출산율이 ‘1’ 아래로 추락함과 동시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도 급격하게 하락하는 현상을 보였다. 지난해 충청지역의 조출생률은 △대전 5.3 △충북 4.7 △충남 4.8로 집계됐는데, 10년 전인 지난 2012년에 △대전은 10.1 △충북 9.8 △충남 10.2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이르렀다. 출산율 감소는 지역 인구의 고령화로 이어져 출생아 수 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인구 자연감소’ 현상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충청지역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가임 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은 △대전 0.84명 △세종 1.12명 △충북 0.87명 △충남 0.91명에 불과해 세종을 제외하면  합계출산율이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충청지역의 여성 한 명이 평생 동안 낳는 자녀의 수가 1명 이하라는 것을 의미하며,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나타내는 직접적 지표이기도 하다.

수십 년 전부터 출생률 수치는 점진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충청지역의 합계출산율이 1.5 이하로 떨어지며 하락세 현상을 보였다. 지난 2018년 대전지역의 합계출산율이 0.95를 기록하며 ‘1’ 이하가 됐고, 2020년에는 충북지역이 0.98로 ‘1’ 이하를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충남지역마저도 0.96를 기록하면서 ‘1’ 이하로 추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충청지역의 합계출산율이 ‘1’ 이하로 추락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동시에 인구 1000명 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조출생률도 급격한 내리막길이다. 

지난해 충청지역의 조출생률은 △대전 5.3 △충북 4.7 △충남 4.8로 집계됐는데, 10년 전인 2012년 △대전 10.1 △충북 9.8 △충남 10.2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출산율 감소는 지역의 인구 고령화로 이어지면서 출생아 수 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인구 자연감소’ 현상을 가속화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60년~1970년대 식량 자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남아선호 사상이 강하던 시기, 급격히 늘어나는 인구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천리는 초만원’이라거나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면한다’는 등의 표어로 ‘딸·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기’ 산아제한운동 등의 정책을 펼쳤다. 1960년대 출산율이 6.0을 넘어서면서 5인 이상 가족에서 1970년대 4인 가족이 표준으로 자리 잡히면서 1980년대는 ‘1000불 국민소득의 길-딸·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등의 표어로 산아 제한을 홍보하는 등 장려정책이 이어졌다.

이런 정책이 190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면서 오히려 출산율이 1.5 수준으로 내려오면서 사실상 저출산 경고등이 켜지자 ‘딸·아들 구별 말고 많이 낳아 잘 기르자’는 오히려 산아 제한이 아니라 출산장려를 독려하는 표어가 등장하기도 했다. 이후 낮은 출산율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본격적인 출산장려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새로운 표어로 바꾸기 시작했다. 불과 40여 년 전까지 인구 증가를 걱정하던 우리나라는 이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상황이 현실화되는 격세지감의 아이러니를 경험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