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홍성지역에서 국민보도연맹사건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민간인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추모위령탑이 제막됐다. 국민보도연맹사건희생자홍성군유족회(회장 황선항)는 지난 13일 용봉산 입구 학살 현장에서 유족과 김석환 군수 등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5주기 8차 홍성지역 민간인희생자 합동위령제를 가졌다.

이날 위령제는 희생자를 위로하는 추모예배를 시작으로 추모사, 헌화, 추모위령탑 제막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합동위령제에서 황선항 유족회장은 추모위령탑 조성에 대한 감사를 표하고 “아직 규명되지 않은 희생자에 대해서도 재조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 유족회장은 “은폐되고 역사 속에 묻힐 뻔했던 사건이 유족과 뜻있는 분들의 노력으로 진실이 규명돼 희생자와 유족들의 명예를 되찾을 수 있었지만 규명되지 못한 희생자도 여전하다”며 “국회에서 특별법을 다시 제정해 억울한 희생의 한을 풀어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제막한 보도연맹 희생자 추모위령탑은 6·25전쟁 당시 보도연맹사건으로 억울하게 숨진 민간인 희생자를 기리고 역사적인 교훈으로 삼기 위해 지난해 10월 군비 5000만 원을 들여 유족들이 표지석을 세운 용봉산 학살현장의 주변에 추모공원 및 추모위령탑을 세웠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국민보도연맹 사건이 한국전쟁 전후 최소한 수만 명 이상이 희생된 사건으로 2006년 10월 직권 조사를 의결했다. 이후 홍성경찰서 소속 경찰들에 의해 홍성지역 국민보도연맹원들에 대한 집단적 구금, 학살에 관한 조사를 실시해 2009년 1월 19일 홍성지역 국민보도연맹 사건 관련 희생자 61명을 확정했다. 그러나 실제 희생자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홍성지역에서는 지난 1950년 6·25전쟁 당시 국민보도연맹원 및 예비검속자들은 상부의 지시를 받은 홍성경찰서 사찰계 경찰들에 의해 좌익사상 정도에 따라 처형대상자로 분류됐다. 그 중 거물급을 포함한 수십 명은 홍북면 상하리 소재 용봉산과 갈산면 행산리 이동부락 뒷산의 폐광으로 옮겨져 그해 6월25일부터 7월 14일 사이에 집단 총살됐다. 한편, 국민보도연맹은 1949년 6월 5일 좌익 계열 전향자로 구성됐던 반공단체 조직으로 국가보안법에 따라 ‘좌익사상에 물든 사람들을 사상 전향시켜 이들을 보호하고 인도한다’는 취지였다. 당초 좌파로 낙인인 찍힌 사람이 대상자였으나 실제는 지역별 할당제였기 때문에 공무원들의 실적 채우기로 인해 사상에 관계없이 무고한 민간인들도 상당수 가입됐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