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소비자 연대 ‘도농상생의 길’
상태바
생산자·소비자 연대 ‘도농상생의 길’
  • 이은주 기자
  • 승인 2016.03.31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공동체지원농업 활성화 국제세미나
도, 공공형 학교급식지원사업 확장 주력

지역공동체지원농업활성화를 위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 다양한 방식의 연대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24일, ‘도농상생 지역공동체지원농업(CSA, 일명 ‘꾸러미’)활성화를 위한 한중일 국제세미나’를 충남연구원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지역 중심의 먹거리를 매개로 한 도농교류 활성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중·일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정책적 개선점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기조발표에 나선 세종시 이춘희 시장은 “세종시는 도시와 농촌이 하나 되는 공동체 실현을 목표로 일찍부터 지역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는 로컬푸드 운동에 주목해 왔다”며 “전국 최초로 ‘로컬푸드과’를 신설하고 농업인가공지원센터 구축, 싱싱밥상, 공공급식센터 운영 등 로컬푸드 기반 및 도농교류의 장을 확산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충청남도 허승욱 정무부지사는 3농혁신을 바탕으로 지역에 중점을 둔 로컬푸드 직거래장터 확충과 지역 농산물 소비를 위한 농촌어메니티 프로그램 통합을 설명했다.

한중일 주제발표에서 일본 미에대학 하타노 다케시(Hatano Takeshi) 교수는 일본과 스위스, 독일의 사례를 언급하면서 “일본에서 시작된 생산자-소비자 연대인 TEIKEI(일명 ‘제휴’)는 유기농업운동을 주도하던 전업주부층의 고령화와 취업여성의 증가로 정체기에 들어섰다”며 “향후 이 문제를 해결하는 보다 넓은 의미의 연대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반해 국제CSA연맹 부의장이면서 직접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중국의 스 옌(Shi Yan) 박사는 “중국은 먹거리 안전성에 대한 위협과 농촌 사회 붕괴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며 “일본에 비해 늦었지만 지역으로 돌아온 청년들을 중심으로 농촌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지역공동체지원농업’이 탄력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건국대 윤병선 교수는 “로컬푸드 운동은 지금의 농식품체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요한 대안 중의 하나”라며 “지역의 소농과 가족농을 지역의 소비자가 지킴으로써 지역사회의 근간인 농업을 유지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충청남도 3농혁신위원장인 단국대학교 김호 교수의 좌장으로 진행된 토론시간에서 충남연구원 김기흥 책임연구원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상호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함으로써 가능하다”며 “직접적인 관계 맺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적극적인 활용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정섭 연구위원은 “CSA 및 로컬푸드 등이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는 정부의 재정 지원에 따른 로컬푸드 매장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라며 “물리적인 확산도 중요하지만 농민의 인식 전환과 함께 정부의 섣부른 제도화가 당초 취지를 잃어버리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충남도 추욱 농산물유통과장은 “소농, 영세농, 귀농인을 위한 지역 내 생산농산물 직거래 비중을 늘려나갈 것”이며 “이를 위해 충남도는 공공형 학교급식지원사업 확장에 주력하고 농식품부와 공동으로 시범사업도 준비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