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찾아서
상태바
행복을 찾아서
  • 범상 스님
  • 승인 2011.03.25 14:5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람 몸 받아 태어나기 어렵고, 부처님 법 만나기 어렵느니라"고 해설되는 '인생난득 불법난봉(人生難得 佛法難逢)'은 출가 수행자가 처음 배우게 되는《초발심자경문》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불법(佛法)은 '행복하게 살아가는 가르침'을 말한다. 따라서 출가수행은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을 실천하는 것으로서 개인적으로는 '행복하게 사는 길'을 찾아 나서는 것이며, 사회적으로는 '행복하게 사는 법'을 널리 알리는 두 가지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있다.

이렇게 '사람의 몸을 받아서 행복하게 사는 일'은 맹구우목(盲龜遇木) 즉,"100년에 한 번 숨을 쉬러 바다 위로 올라오는 눈먼 거북이가 망망대해에 떠다니는 구멍 뚫린 판자에 우연히 목이 끼일 만큼"이나 희유하다하여 '백천만겁에 난조우(百千萬劫 難遭遇)'로 표현된다.

어찌 보면 참으로 황당하고 맹랑한 비유이다. 그러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오월의 신부에서부터 칼부림의 살인과 전쟁에 이르기까지 세간에 벌어지고 있는 모든 일들이 '행복'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어제도 행복했고, 오늘도 행복하며, 내일도 행복하다는 확신에 찬 사람을 찾아 볼 수 없으니 위의 비유는 참으로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인간이 이룩한 문명ㆍ문화 등을 포함한 모든 행위와 산물들 역시 행복을 위한 노력의 결과이자, 동물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행복을 찾아가는 인간만이 가지는 특별한 과정들이라 하겠다. 그러나 결국 자연은 계절에 따라 삶을 정리하고, 수 천 수 만 가지의 방법을 동원하고 심지어 우주를 탐험에 나서기까지 하는 인간 역시 행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쓸쓸하고 불안한 생을 마감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과연 행복은 있는 것일까라는 물음에 불교는 "무엇을 행복이라고 확정하는 그 순간 그것에 대한 집착이 일어나고, 집착은 상대적 분별을 일으키므로 행복이라고 할 것이 없다."라고 대답한다. 예를 들면 낮에 백화점에서 가장 예쁜 옷을 사 입어서 너무 행복했는데, 저녁에 TV에 나오는 모델의 의상을 보는 순간 낮에 느꼈던 행복은 사라지고, 또다시 새 옷을 구매하려는 욕구가 일어나는 것과 같다고 하겠다.

철학과 종교 등에서 진리ㆍ정의ㆍ보편성과 같은 문제에 관심을 가진다. 왜냐하면 그것들을 명확히 규정함으로 비로소 인간이 행복한 삶이라는 이상향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무엇을 규정하거나 정의한다는 것은 상대적 분별에 지나지 않으므로 새로운 시빗거리에 불과하다.

그렇다고 모델이 입은 의상에 비해서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옷이 무용지물이 아니듯이 철학과 종교들에서 규정하고 정의한 것들이 인류발전과 사회질서유지 등 행복에 기여한 것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해탈이라고 불리는 행복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진리ㆍ정의ㆍ보편성은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임에는 틀림없다. 여기에 대해서 인류 최초의 각자(覺者)이신 붓다의 견해는 매우 독특하며, 독특하다는 입장에서 유일하다. 붓다는 보편성과 진리를 동일하게 보며, 우주의 존재방식에서 찾았고, 정의는 연기의 결과인 인과(因果)로써 설명한다. 그것은 인간의 모든 세포 속에 전체를 알 수 있는 유전정보가 들어 있듯이 우주의 모든 개체는 우주의 존재방식과 같기 때문이다.

마치 내 몸이 여러 가지 요소들로 이루어졌고, 이것들이 끝임 없이 이합집산[緣起]을 하므로 생로병사를 거듭하듯이 우주의 모든 것은 항상 변하며[無常], 이것이라고 하는 실체가 없다[無我]. 따라서 진리(보편성)는 "모든 것은 항상 변하고 실체가 없다"이며, 생활습관에 따라 건강이 달라지듯이 연기(변하는 것)함으로써 당연히 생기게 되는 원인과 결과인 인과(因果)를 정의에 대별할 수 있겠다.

행위에 따르는 결과인 인과(정의)에는 어떤 심판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인과에 대한 고통의 무게는 다른 사람이 나누어 질 수도 대신할 수도 없다. 다만 동업(同業)중생의 고통을 함께 느낄 뿐이다.

요즘 세간에 회자되고 있고 '장자연편지사건'에 대해서 국과수가 친필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림으로써 '실체적 진실'과는 별도로 '친필 편지사건'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장자연이라는 한 연예인도 피해자이기 전에 스타가 되겠다는 욕심[행복]을 가졌다는 사실과, 다른 한 쪽은 인간의 윤리에서 용납되지 않는 욕구[행복]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권력과 금력을 동원한 것이 원인이 되어 그 결과로서의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참다운 행복은 욕심과 욕구의 충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실한 인과의 이치를 확연히 아는 지혜에서 출발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용봉산덕쇠 2011-03-25 18:45:54
이런글이 우리네 중생들에게 도움이 되지요,
평화니,민족이니, 우리끼리니,....이념적인것들을 논하는 스님들은 수행자로 안보이고
단지 승복만 걸치고 이름한번 알리고자 단지 얼굴한번 알리고자 공명심에 꽉차서 수행은 안중에도 없는 사람으로 보여서 싫트라고요...
스님! 종종 수행과 관련된 글좀올려주세요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