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절반 범인 거주지서 발생
성 관련 강력범죄의 절반가량이 주변에 사는 인물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다. 지난달 전남 나주에서 7세 여아를 납치해 성폭행한 사건과 지난 2010년 부산 사상구에서 여중생을 납치 살해한 사건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아동성범죄의 경우 이웃사람이나 친지 등 면식범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10건 중 4건 이상이다. 대부분의 성범죄자는 ‘흉포한 낯선 사람’이라는 고정관념을 뒤집는 셈이다.
홍성경찰서에 따르면 현재 관내에서 정기적으로 관리하고 첩보 수집하고 있는 성폭력우범자는 모두 49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5일 성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성범죄자 알림e(http://www. sexoffender.go.kr)’ 사이트에 접속, 확인한 결과 충남에서는 모두 122명의 성범죄자가 거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절반 이상이 아동과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해당된다.
이를 시·군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남에서는 천안이 3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논산(16명)과 아산(14명)에 10명 이상의 신상 공개 대상 성범죄자가 거주 중이고, 홍성은 6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홍성지역 신상 공개 대상자들 가운데 4명이 현재 홍성읍 도심지 주택 밀집지역에 살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2명은 10세 미만 여아를 강제 추행한 것으로 드러나 주민들을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지난달 2일에는 홍성군의 한 가정집에서 이웃집 아저씨인 피의자 A(47, 남, 폭력행위 등 7범)씨가 방학 중 외가에 놀러온 여고생 B(18세)씨를 발견하고 강제추행하기로 마음먹고, 피해자가 잠들기를 기다렸다가 방안에 침입하여 잠든 B씨를 강제 추행한 사건도 있었다.
딸을 둔 부모들은 “우리 아이도 안전하지 않다. 자는 아이도 다시 보게 된다”며 “지역에서도 각종 성범죄가 잇따르고 있는 만큼 특별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성경찰서는 “성폭력범죄자 등 우범자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시행했으며, 주택가 우범지역에 방범활동을 강화하고 각 단체와 연계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리와 성폭력을 포함한 5대폭력 척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열람 절차 까다로워 이용자 짜증 유발
최근 성폭력 사건이 잇따르면서 ‘성범죄자 알림e’ 사이트의 방문자수도 폭주하고 있지만 열람 절차가 까다로워 이용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성범죄자 알림e’ 사이트를 방문하면 우선 사전조치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이후 열람마당-찾아보기 메뉴로 이동하면 실제 거주지 또는 주민등록상 주소 기준 성범죄자 등록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성범죄자의 정보를 열람하려면 ‘지도검색’ 또는 ‘조건검색’ 탭을 선택해 인증화면으로 이동한다. 이때 본인 확인을 위해 주민등록증 발급일, 공인인증서, 휴대폰번호 중 하나를 선택해 본인인증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미성년자는 성인 대상 성범죄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없으며, 성인들도 인증을 위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13자리 입력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과정까지 5~10분이 소요된다.
이밖에도 액티브-X 설치, 키보드 보안프로그램 설치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해 이용자들의 짜증을 유발하고 있다.
홍성읍에 거주하는 주민 김 씨는 “정말 무슨 사이트가 이렇게 복잡한 걸 요구하는지 모르겠다”며 “사이트에 들어가도 결국 못보고 나오는 경우가 많다. 본인인증 절차를 간소화 하는 방안 등을 새롭게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