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5위 규모의 도시로 성장 기대

[홍주일보 김영정 기자] 충남도와 대전시가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체인 ‘대전충남특별시’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공동위원장 이창기·정재근, 이하 민관협)는 지난달 23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충남도와 대전시의 행정통합에 대한 2차 회의를 개최하고 △행정통합 비전 안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 안 △행정통합을 통한 충남과 대전의 긍정적인 미래상을 도·시민과 공유하기 위한 홍보방안 등에 대한 토론을 가졌다.
민관협은 이번 2차 회의에서 충남도와 대전시의 행정통합 미래 비전은 ‘대한민국 경제과학 수도, 대전충남특별시’를 미래 비전으로 내놨고, 대전의 첨단 과학기술과 충남의 산업 인프라를 결합해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기술 혁신의 상징으로의 도약과 충남의 반도체와 모빌리티, 대전의 우주와 로봇, 바이오 등 첨단산업 집적화로 세계 5위권 글로벌 도시 육성할 것을 밝혔다.
또한 이를 위해 △지역 균형발전과 저출생·고령화 극복 △광역교통망 구축 △내륙과 해안을 연계하는 문화·예술·관광 △생태 자원의 복원과 활용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조성 △국방산업 집중 육성 △미래 모빌리티 진흥 산업 육성 △인공지능(AI)·양자 융합 클러스터 구축 △글로벌 과학기술 융복합 집적지 조성 △기후변화 대응 국가 탄소 중립 선도 △대학·지역·산업 연계 혁신 플랫폼 구축 △해외 인재 유치와 글로벌 정주 도시 조성을 12대 전략으로 제시했다.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은 대한민국 경제와 과학의 중심지 도약을 위한 중앙 권한의 대폭 이양을 목표로 미래발전 비전 확정 후 실질적으로 지방에 필요한 권한을 엄선해 제정을 추진키로 했다. 특별법 주요 내용에는 △교부세 특례, 지방채 발행 특례 등 자치재정 △부단체장 정수(定數) △소방·경찰 운영 등 인사 △자치 감사 등을 포함 할 예정이다.
또한 민관협은 홍보 활성화를 위해 권역별 설명회, 유관 단체 간담회, 국회 토론회, 포럼 등을 개최하고 언론과 뉴미디어 홍보에도 중점을 둘 예정이다.
정재근 공동위원장은 2차 회의 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현행 지방자치제는 1987년 개정 헌법을 근거로 마련됐고 그동안 추진 과정에서 많은 한계를 노출하고 있어 이번 행정통합을 통해 현행 지방자치가 한 차원 향상되는 기회로 만들 예정이며 이는 단지 충남과 대전의 이익만을 위한 통합이 아닌 대한민국의 미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충남·대전이 제시하는데도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대전 행정통합은 지난해 11월 21일 김태흠 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이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발표하며 본격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24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가 출범식을 갖고 가동을 시작해 현재 2차 회의까지 마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