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예산 등 충청권을 사수하라
상태바
홍성·예산 등 충청권을 사수하라
  • 편집국
  • 승인 2008.01.15 14: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 당선인…충청엔‘아픈 기억’있다

오는 4월 9일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홍성을 비롯한 충청권 전체에 대해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는 한나라당의 공천탈락자와 범여권 인사들 일부가 ‘이회창의 보수신당’으로 말을 갈아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회창 전 총재의 출마가 예상되는 홍성·예산을 비롯한 공주·연기 등 차령 산맥 이남 지역에선 힘든 싸움이 예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들 지역은 지난 대선 때 이명박 당선인이 이회창 후보에게 크게 졌던 지역들이다.
이처럼 충청에 대해서는 이 당선인에게 아픈 기억들이 남아 있다. 이처럼‘정복하지 못한 땅’인 충청권 공략을 위해 이 당선인 측이 쥐고 있는 카드가 인사와 정책 두 가지다.
충청 출신 인사들을 새 정부의 중요한 자리에 기용하고, 국제과학비즈니스 벨트 등 충청 민심에 호소할 만한 정책 이슈들을 앞세워 길고 길었던 충청권과의 악연을 끊겠다는 것이다.
이 당선인의 한 측근은 “호남 지역이 전략적 투표를 한다면, 충청 지역은 전통적으로 이익 투표를 해 왔다”며 “수도 이전 공약을 내세운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충청표를 휩쓸었듯 가시적 인사와 정책으로 충청 지역을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붉어지고 있는 총리 인선의 가장 큰 변수 또한‘충청’이다. 몇일전 총리직을 거부한 심대평(충남 공주) 국민중심당 대표와 이원종(충북 제천) 전 충북지사, 하마평이 이어지고 있는 정운찬(충남 공주) 전 서울대 총장과 안병만(충북 괴산) 전 한국외국어대 총장 등 후보들 중엔 유독 충청도 출신이 많다.
이 당선자의 이 같은 고민에는 ‘충청도에 관한 아픈 추억’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4년 서울시장 재임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 당선자는 충청권으로의 수도 이전을 극구 반대했던 사람 중에 한명이다.
이때 헌법재판소의 수도 이전 위헌 결정을 이끌어 낸것 역시 이 당선자 였다. 하지만 여야 정치권은 국회에서 수도 이전이 아닌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건설이란 절충안에 합의했고 이에 대해 당시 이 당선인은 “수도 분할은 수도 이전보다 더 나쁘다”고 정치권 전체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후 대선 과정에서는“이미 시작된 이상 행복도시를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며 입장을 바꿨다. 여기서 그는“내가 대통령이 되면 행복도시를 만들지 않는다는 루머에 속지 말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2007년 4·25 선거 때 한나라당 참패 뒤엔 “이명박·박근혜 공동유세 무산이 대전 보궐선거 패배의 원인”이라며 행복도시 반대 전력은 그에게 두고두고 짐이 됐다.
경선 결과도 실망스러웠다. 대전에선 박 전 대표의 절반 득표에 그쳤고, 충청 전 지역에서 참패했다.
이후 이 당선인은 지난해 9월 경선 이후 첫 지방 행선지로 행복도시 예정지를 방문하는 등 11월 말 공식 대선운동도 대전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대선 성적표 역시 만족스럽지 못했다. ‘540여만 표차 대승’이 무색하게 대전과 충남에선 이회창 후보와 박빙의 승부를 벌였다.
한편 지금까지 전국적인 대세론과 사뭇 다른 경향을 보여 온 홍성군을 비롯한 충청권에 오는 4월 9일 치러지는 제18대 총선에 모든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