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는 미분양이 이보다 훨씬 많은 15만~20만 가구에 달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는 건설사들이 미분양 가구 수를 줄여서 발표하거나 숨기는 경우가 많고, 특히 규모가 영세한 업체의 미분양 물량은 제대로 집계마저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반기부터 분양가 상한제가 본격 도입되고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하는 값싼 ‘지분형 아파트’가 공급될 경우 미분양이 더 쌓일 것으로 업계는 걱정하고 있다.
지금처럼 미분양이 늘어난다면 건설업체의 줄도산은 불가피하다. 미분양은 건설사의 자금운용을 마비시키고, 결국에는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져 국가 경제의 근간을 뿌리 채 흔들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간단히 볼 일이 아니다.
따라서 미분양은 내달 출범하는 이명박 정부가 고민해야 할 큰 과제다. 부동산 시장의 안정 못지않게 중요한 현안이다. 이명박 정부의 6% 이상 성장계획이 미분양 아파트로 발목이 잡힐 수도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정부는 미국의 서브프라임(비우량 주택담보대출) 파문을 교훈 삼아 미분양 아파트 물량 해소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한다.
미분양은 서브프라임과 성격이 다르긴 하지만 둘 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서 온다는 점, 금융시장을 혼란에 빠뜨리고 국가 경제에 위기를 초래하는 점은 꼭 같다. 따라서 미분양 대책은 빠를수록 좋다.
저작권자 © 홍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