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향(香) 그윽한 대보름 음식
상태바
자연의 향(香) 그윽한 대보름 음식
  • 최봉순<혜전대 교수, 칼럼위원>
  • 승인 2014.02.06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는 계절이 뚜렷하여 계절마다 만들어 먹는 음식이 다양하다. 이를 시절음식 즉, 시식(時食)이라 한다.
양력은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고 음력은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들었는데,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을 설날이라 한다. 정월은 천지인(天地人) 즉 신, 자연, 사람이 하나 되어 뜻을 이루며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다. 설날은 걱정을 가만히 가라앉히고 1년 내내 무탈하게 지내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몸가짐을 조심하였다. 또한 한 해를 설계하고 조상들께 인사를 하는 날이었다.
음력 1월 15일은 상원(上元), 정월 대보름이라 한다. 정월 대보름은 1년 동안 더 나은 삶을 위해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명절이다.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놀이로 줄다리기를 하고 마을의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지신밟기를 하여 풍요와 복을 축원해 주기도 하였다. 아침 일찍 일어나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내 더위 사 가라”하며 한 해의 더위를 팔았다. 액막이를 위해 하늘에 액연(厄鳶)을 띄우기도 하고 쥐불놀이, 다리밟기, 볏가릿대 새우기, 용알뜨기, 사발점 등 다양한 대보름날 풍속이 있었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을 상원 절식(上元 絶息)이라 하는데 귀밝이술, 부럼, 약식, 오곡밥, 묵은 나물, 복쌈, 원소병, 팥죽 등이 있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1년 동안 귓병이 생기지 않고, 한 해 동안 좋은 소식만 듣기를 소망하며 귀밝이술을 마셨다. 이 술은 이명주(耳明酒), 명이주(明耳酒), 총이주(聰耳酒)라는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귀밝이술은 젊은이가 먼저 마셨는데, 젊은 사람은 한 해를 얻으니 먼저 마시고 늙은 사람은 세월을 잃으니 뒤에 마셨다. 어른이 부르면 귀가 밝아서 잘 듣고 빨리 대답하라는 의미였다고도 한다. 한 해 동안 부스럼을 예방하기 위해 밤, 호두, 잣, 땅콩, 엿 등의 부럼을 깨뜨리고 바늘에 잣을 끼워 불을 붙여 그 해의 운수를 점치기도 하였다. 잠이 덜 깬 나에게 입 속에 엿을 밀어 넣어 주던 어머니의 모습이 아련하게 떠오른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신라 21대 소지왕의 목숨을 까마귀가 구한 설화가 나온다. 소지왕은 매년 정월 16일을 오기일(烏忌日)로 정하여 찰밥으로 제사를 지내 까마귀에게 보답을 하였다. 이 풍습이 전해지며 약식은 정월 대보름날 절식이 되었다.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약반을 중국인이 좋아하여 이것을 배워서 만들고는 ‘고려반(高麗飯)’이라 한다”라고 씌여 있다. 아언각비(雅言覺非)에 보면 꿀이 들어간 음식에 약(藥)자를 붙여 약반(藥飯), 약주(藥酒), 약과(藥果), 약고추장이라 하였다.
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먹는 풍습은 신라시대부터이다. “얼굴이 검게 되고 마르는 아이는 대보름날 백 집에서 밥을 빌어다가 절구를 타고 개하고 마주 앉아 개에게 한 숟갈 주고 자기도 한 숟갈 먹으면 다시는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경도잡지(京都雜紙, 1700년대 말)와 동국세시기에 기록되어 있다.
정월 대보름에는 많은 양을 해서 성(姓)이 다른 세 집 이상을 찾아다니며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한다. 백 집을 다닌다하여 ‘백가반(百家飯)’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하루 동안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도 하였다. 이렇듯 아홉 가지 묵은 나물을 집집마다 쪄 익히니 그 자체가 자연의 향(香)이다. 그 중에도 검푸른 시래기는 온갖 병을 없애는 최고의 처방으로 알려져 있다. 정월 대보름에 우리가 먹고 있는 음식들은 앞으로 다가올 계절의 더위와 질병을 예방 하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음식이다.
시대가 변하고 삶이 고단하다 하여도 명절은 지속되고 있다. 우리의 정월 대보름 풍속은 서민들의 간절한 희망이 담겨 있기도 하다. 삶의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자연의 순환을 바탕으로 활기를 찾는 쉼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풍습은 개인의 것이 아니고 우리 모두를 묶어 주는 힘이 있다. 줄다리기를 하며 함성을 지르고 1년 동안의 희노애락을 놀이문화로 녹여 자연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놀 줄 아는 순박함이 바로 우리 조상이 우리에게 물려준 유산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