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 가정 파괴의 주범 '치매'
상태바
고령화 시대 가정 파괴의 주범 '치매'
  • 주향 편집국장
  • 승인 2014.10.30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매노인 실태보고서

치매로 인해 탁구공을 귤이라고 생각하는 할머니.

10년 전 사고로 머리를 다친 후 치매 증세를 보이고 있는 복모(84세) 어르신은 GPS위치추적 단말기를 늘 착용하고 있다. 복 어르신의 가족들은 아버지가 외출했다 혹여 집을 찾지 못할까봐 수시로 아버지의 위치

를 확인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 버렸다. 고령화 시대가 도래 하면서 노인들을 부양하는 가족들에겐 걱정거리가 생기고 있다. 그것은 바로 ‘치매(알츠하이머)’라는 병이다.

■ 홍성 치매환자 1776명
홍성지역 내 이 같은 치매 환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1776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1만9306명중 치매 유병률은 9.2%로, 노인 10명 가운데 1명이 치매노인이라는 통계다. 하지만 군 보건소에 등

록, 관리되고 있는 치매환자 수는 10월13일 현재 901명이며 이중 남성이 282명으로 31%, 여성은 619명으로 69%를 차지해 남성보다 여성의 치매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노인들의 주거형태도 치매발병

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 혼자 살거나 노인 부부만 사는 세대의 경우 자녀와 함께 사는 세대보다 치매 유병률이 2배 이상 높았다.

실제로 자녀와 동거하는 치매노인은 211명인데 반해 노인단독 또는 노인부부만 사는 세대는 468명이며 이밖에 165명은 시설에서 보호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등록 치매환자 900여명
치매환자 관리는 읍·면에 있는 보건지소나 출장소에서 담당 직원이 치매노인 집을 월 1회 방문하거나 전화로 안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혼자 거주하는 치매노인이 222명, 나머지 246명도

고령의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다. 이들은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절실한 실정임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이들 치매노인들은 실종의 위험에도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군과 치안당국의 대책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현재 소재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는 900여명의 치매노인들도 문제다. 치매대상자 발견 경로를 살펴보면 49%인 441명이 병원진단을 통해 알게 됐다. 이것은 가족이나 배우자가 있을 경우에 가능한 일

이다. 방문보건을 통해 치매여부를 확인한 경우는 65명, 이웃 등 지역사회를 통해 확인된 것은 29명으로 나타났다. 미등록 치매환자의 50%는 혼자 살거나 노인부부만 사는 세대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도움의 손길을 줄 수 조차 없는 실정이다.

요양병원에서 인지재활 치료를 받는 할머니들.

■ 5년간 노인실종 68건
전국적으로 치매노인 실종건수가 연간 7000여명에 달하고 있다. 고령화가 심한 홍성에서도 신고가 잇따르고 있는데 최근 5년간 발생한 65세 이상 노인 실종건수는 총 68건, 이중 치매노인 실종건수는 42명에

이른다. 치매노인이 있는 가정에서는 실종사건 발생 시를 대비해 준비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가족들은 십 수 년 전의 사진을 가지고 신고하러 오거나 실종당시 입고 나간 옷 등에 대해 전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실종자를 앞에 두고도 알아보지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치매노인을 가족으로 둔 가정에서는 주기적으로 사진촬영을 하고 평소에 입는 옷가지는 몇 종류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치매노인 실종사건 발생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종자의 최근 사진과 실종 당시의 착의상태이다. 최근의 모습과 어떤 색상, 종류의 옷을 입었는지 알면 실종자 발견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

■ GPS위치추적 단말기 보급
몇 년 전 보건소에서 보급한 GPS위치추적 단말기 덕분에 길을 잃고 배회하던 아버지를 찾을 수 있었다는 복 모씨 가족. 그들에게 GPS위치추적 단말기는 아버지의 생명줄이다. 이처럼 GPS기술을 활용해 치매 노

인의 위치를 보호자와 경찰에게 알려주는 ‘배회 감지기’가 일찌감치 도입됐지만 보급률은 미비한 실정이다. 그동안 관내 치매노인에게 보급된 GPS위치추적 단말기는 36대가 전부다. 보급초기 배터리 충전과 단

말기 사용관리가 어렵고 중계소 단위로 위치가 파악돼 정확하지 않다는 아쉬움이 지적됐다. 또한 경증 치매환자는 핸드폰 소지로 위치추적이 가능해지며 지금은 외면을 받는 실정이다.


■치매환자 인식표 559명 보급
치매노인은 불편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팔찌나 목걸이보다는 치매노인 옷에 이름, 주소, 연락처 등 인식표를 만들어 부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가족들이 일상 생활을 하다보면 치매노인이 실종되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 옷에 인식표가 있는 경우 인식표를 확인하여 가족에게 쉽게 연락을 할 수 있다. 군 보건소에서는 올해 50명을 포함해 그동안 총 559명의 치매노인에게 인식표를 발급했다. 인식표에는 개인별 고유번호가 부여되는데 사용법은 치매노인 옷에 다림질하여 부착하면 된다. 1인 80장의 인식표가 발급되므로 보호자가 여러 옷에 부착·관리해야 한다. 배회노인 발견 시 고유번호 확인을 통해 신원 및 보호자 연락처를 파악해 귀가시킬 수 있다.

■ 지문 사전등록제
실종 위험이 있는 치매노인 등의 지문, 사진, 보호자 연락처 등의 정보를 등록해 실종을 예방하고 실종 시 신속히 찾기 위한 제도다. 지난 2012년 7월 시행이후 관내 지문이 등록된 치매노인 수는 고작 11명 뿐이다. 이유는 경찰서나 오관지구대로 보호자가 치매환자를 대동하고 등록절차를 밟아야 하는 번거로움에다 홍보도 미흡했기 때문이다. 당초 실종아동을 찾기 제도로 법률을 개정해 치매노인도 그 대상에 포함시킨 것인데 이 같은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이제라도 치매노인 실종예방을 위해 군과 경찰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치매노인을 가족으로 두고 있는 한 모 씨는 “아무리 좋은 제도가 있으면 뭐 하겠냐” 며 “이제라도 경찰과 군 보건소가 함께 나서 현재 관리되고 있는 치매환자라도 지문등록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다른 치매환자 가족인 이 모 씨는 “치매라는 병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를 피폐하게 만드는 가정 파괴의 주범”이라며 보건당국의 좀 더 많은 배려의 손길을 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