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필요성은 인정한다” 그러나 “우리 마을은 안 돼”
상태바
“시설 필요성은 인정한다” 그러나 “우리 마을은 안 돼”
  • 최선경 편집국장
  • 승인 2012.05.24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사업, 집단민원으로 무산 위기


친환경자연순환농법의 토대마련을 위한 정부 핵심정책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지원사업’이 전국 최대의 축산군이라고 일컬어지는 홍성군에서 자칫 시행도 못해보고 무산될 처지에 놓였다.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지원사업’ 추진의 가장 큰 어려움은 악취 등으로 인해 혐오시설로 치부되면서 생기는 민원문제이다.

홍성군과 축산업자들은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사업이 가축분뇨의 해양투기 금지에 대비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라는 입장인 반면, 비축산 주민들은 땅값 하락과 악취 발생 등을 우려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홍성군은 지난해 국비 등 30억원을 들여 홍성축협을 사업자로 선정하고 당초 갈산면 오두리, 갈산면 기산리, 서부면 광리 A지구, 결성면 교황리, 홍동면 금당리 등 5개소의 부지를 물색했으나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과 집단민원으로 검토 과정에서부터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사업자가 주민들의 반대 여론을 설득하지 못하고 끌려 다녀 결국 지금의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이라는 지적도 있었다.

최근 홍성축협 측은 광천읍 운용리를 선정해 60여명의 주민동의서와 함께 사업 허가를 신청한 상태이며, 이미 선진지 견학을 통해 사업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주민들 설득이 마무리돼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엔 대상 부지 주민들보다 오히려 인근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 사실상 최종 부지 선정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광천읍 운용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홍동면 하원마을 주민들은 강한 반대 의사를 보이며 “축협 조합장을 상대로 결사적으로 막을 것”이며 “운용리보다 우리 마을의 피해가 더 클 것이 예상된다. 남의 방문 앞에 화장실을 짓는 것이나 다름없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홍성축협 담당자는 “이미 부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대로 여러 번 사업이 포기됐다. 물론 주민들의 어려움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나 축산군인 홍성군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로 주민들이 우려하는 것만큼의 악취 고통은 없을 것이다. 6월 이전에 부지 선정 등 사업 추진이 구체화되지 않으면 6억원에 달하는 융자금 지원이 어려워 자칫 무산될 위기에 처한다. 사실상 집단 민원 및 지역이기주의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고 호소했다.

홍성군 축산 담당 관계자는 “관내 농가의 가축분뇨 처리가 한계에 달했고, 올해부터 가축분뇨 해양투기가 근절돼 가축 분뇨 자원화 시설이 꼭 설치돼야 한다”며 “앞으로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하기 위해서는 권역별로 이러한 시설이 4개 정도는 있어야 한다. 주민들에게 혐오시설이 아닌 필요 시설임을 강조하고 설치 당위성을 설명해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주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만약 이번에도 군이 가축분뇨자원화사업에 대한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서 사업자와 주민들 간 갈등과 반목이 심화된다면 향후 건립사업이 아예 무산되거나 축산업의 미래가 불투명할 것이란 우려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군도 가축분뇨자원화시설이 절실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주민들과 사업자 간 원만한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을 펼쳐야 한다는 여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