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주민과 소통부재 지적… 보완책 요구

은하면 ‘대판천 생태하천 조성사업’ 일부 구간이 공사에서 제외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4일 화봉1교 현장방문에 나선 의원들에게 안전총괄과에서 브리핑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났다.
대판천 생태하천 조성사업은 하천 생태계와 치수 특성을 고려한 공간 정비를 위한 사업으로 총 141억 48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총 길이 3.58km 구간에 교량과 제방시설을 정비하고, 낙차공을 설치해 하천을 정비하는 것이다. 사업은 지난 2011년 시작돼 지난 2012년 실시설계용역을 마치고, 지방건설기술심의를 완료했으며, 지난 2013년 4월 공사에 착공해 현재 7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이 자리에서 박만 의원은 “대판천 상류 400m구간이 왜 공사구간에서 빠지게 된 것이냐”고 이유를 물었으며, 이에 대해 군 안전총괄과 최환엽 담당은 “국토관리청으로부터 해당 구간이 지방도이기 때문에 국비로 사업을 진행할 수 없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다”며 해당 구간이 공사 구간에서 제외됐음을 밝혔다.
이날 주요사업장 현장답사에 동행한 야동리 정정만(65) 이장은 “공사가 처음 계획대로 착공되는 줄로만 알고 기다리고 있었는데, 오늘 현장에 와서야 공사가 불가능하다는 소식을 알게됐다”며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박만 의원을 비롯해 현장방문에 나선 군 의원들은 “공정률이 75%에 이르도록 주민들이 사업 상황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했다”며 사업 진행 과정에서의 소통 부재를 강도높게 지적했다.
군 관계자는 “은하면사무소에는 해당구간의 공사구간 제외 사실을 통보했으나,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계획변경 사항을 알리지는 못했다”고 잘못을 인정했다.
이 외에도 이선균 의원과 주민들은 하천제방 노변의 포장상태에 대해 “흙이 아닌 자갈로 포장돼있어, 논으로 자갈이 굴러들어 갈뿐만 아니라 농민들의 예취기 사용 시 안전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