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보령호 역간척 사업 반대

충남도가 역점 추진 중인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역간척)’ 사업에 대해 한국농어촌공사가 제동을 걸고 나섰다. 도는 지난 달 27일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생태복원 시범사업 대상지로 보령호와 고파도 폐염전을 최종 선정했다. 보령호는 ‘홍보지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1991년부터 6년 간의 공사를 거쳐 조성된 인공 하구호다. 보령 오천면과 천북면을 잇는 방조제의 길이는 1082m에 달한다. 수면 면적은 582만㎡이며, 보령시 오천면과 천북면, 청소면, 홍성군 은하면 등 2개 시·군 4개 면에 걸쳐 있다.
보령호가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것은 지난 1997년 10월 최종 물막이가 이뤄진 이후 수질 악화로 담수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대단위 축사 등 오염원이 인근 홍성과 보령에 산재해 보령호의 현재 수질은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6등급이다. 또 해수 유통 차단으로 갯벌 면적이 크게 줄고, 이로 인해 어족 자원 역시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들도 물고기 서식지 등 생태계 복원과 수질오염 및 악취 해소 등을 위해서는 바닷물 순환이 필요하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은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한광석 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장은 2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남도의 역간척 사업은 농업용수 확보 및 저지대 침수피해, 기 투자된 매몰비용, 환경 및 안전문제 등에 문제가 많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한 단장은 “보령호의 농업용수 필요량은 1551만톤이며 이는 200만톤 규모의 저수지 8개에 해당되는데 역간척 시에는 이에 대한 대안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역간척 사업이 진행되면 보령호 주변 땅속에 매설된 254km(보령호 측 120km)의 용수관로는 쓸모없게 되고 철거시 추가 사업비가 소요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홍성·보령호 주변 843ha의 저지대 농경지에 대한 배수개선사업을 완료했으나 해수유통시 침수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보령호 수질이 농업용수로도 사용할수 없는 6등급이라는 충남도의 분석에 대해서는 상류유역 축산농가 및 생활계하수 등으로 인한 수질오염으로 수질개선대책을 시행중에 있으며 대책이 완료되면 농업용수 목표수질인 4등급을 충족할 것이라 밝혔다.
농어촌 공사의 반대 입장에 대해 충남도는 즉각 반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도는 “충남 서북부 8개 지자체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된 도수로에서 공급관로를 연장해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또한 기투자된 매몰비용에 대해서는 방조제 설치비용(729억원)을 제외한 배수장 양수장, 용수로 등은 농업용수 공급에 활용하는 시설이라며 방조제는 존치시켜 도로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는 역간척 사업을 통해 보령호 배수갑문 부분 및 완전 개방을 통한 해수순환으로 수질환경을 개선하고 갯벌 복원 및 염습지 조성 등으로 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