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오류에도 개선 없어… “홍주지명 되찾자”
중앙일간지에서 또 다시 홍성을 ‘강원도 홍성’으로 표기하는 등 지명 혼란이 여전해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간지인 A신문사는 지난달 10일 경제기사에서 서해안 복선전철 사업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면서 홍성역을 ‘강원도 홍성역’으로 표기했다. 또한 인근 지역인 예산과 당진 역시 ‘충북 예산·당진’으로 표기하는 등 중앙일간지에서조차 홍성 및 인근 지역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잘못 표기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 홍성’이 ‘강원도 홍성’으로 표기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6월 본지 384호에서 특집 기사를 통해 중앙일간지 지명 표기 오류를 보도한 바 있으며, 지난 6월 본지 440호에서는 포털사이트에서 홍성을 검색하면 첫 연관검색어로 ‘강원도 홍성’이 검색되는 등의 사례를 지적한 바 있다.
또 지난달 453호에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에서 홍성이 강원도를 넘어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표기되는 사례를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차례의 보도에도 불구, 중앙일간지에서 또 다시 홍성을 강원도로 표기하면서 군에서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민 최 모 씨는 “지명을 잘못 표기한다는 것은 역사적인 사실까지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며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가 일본의 다케시마로 표기되는 것과 같은 이치인데 군에서는 지명 표기의 오류를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을 위해 신속한 지명 되찾기 운동이 추진돼야 한다는 여론도 확산되고 있다. 특히 홍주지명 천년을 맞이하는 2018년에 앞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수반돼야 함에도 아직까지 지지부진한 행정으로는 결코 홍주라는 지명을 되찾을 수 없다는 여론이다.
홍주지명되찾기 범군민운동본부 오석범 본부장은 “관에서 홍주천년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사업 자체보다 그 목적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다”며 “지명 혼란이 계속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홍주지명을 되찾아야 한다는 여론을 수렴해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실익이 없이는 정책을 펼쳐도 의미가 전혀 없다”며 “오는 12월 지역 내 여론조사를 실시해 행정기관의 사업 추진과 주민 인식 변화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