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정책은 현장에서 이뤄져야…
상태바
농업정책은 현장에서 이뤄져야…
  • 김옥선 기자
  • 승인 2019.02.16 0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과 자치연구소 정만철 소장

농업과 자치연구소 개소식… 농촌활력정책·연구용역 등
농민애로사항 청취와 상담… 연구소 지역 놀이터 되기를


홍성은 농어촌사회다. 이와 관련한 여러 가지 정책들이 마련되고는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 현실과는 맞지 않는다.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고 농촌 현장이 반영된 정책과 발전방안을 만들기 위해 지난달 30일 농촌과 자치연구소(소장 정만철)가 개소식을 가지고 지역의 놀이터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만철 소장은 농업경제를 전공하고 졸업 후 한살림에서 2년간 근무를 했다. 이후 일본 유학을 마치고 농촌진흥청 연구직 공무원으로 7년을 일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무서워졌다. “중앙정부의 법과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이 거의 현장을 모른다는 사실에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현장에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이후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들어가 일을 했다. 그러던 중 홍성군에서 연락이 왔다. 군에서 운영하는 친환경농정기획단장을 맡아달라는 얘기였다. “홍성군과는 한살림을 다니면서 풀무생협 등과 연관이 있었던 곳인데 이렇게 여러 번 연락이 오는 것을 보면 인연인가 보다고 생각해 내려오게 됐다.” 홍성군푸드플랜 수립, 홍동면 문당리 쌀빵, 결성면 성우농장의 가축분뇨발전시스템 등이 정 소장의 손을 거쳤다. 

정 소장은 이날 열린 개소식에서 “현재의 농촌은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지역의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며 “연구소는 바로 이런 고민에서 출발해 만들어지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농촌이 무너지면 나라가 무너지는 일이고 농민이 경제적으로 자립해야 농업이 건강해진다”며 “이와 함께 농촌의 인적재생산이 이뤄져야 하며 후계농업인 확보에 대한 고민 또한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촌과 자치연구소는 농촌 활력에 대한 정책을 연구하고, 지역 먹거리체계 수립, 먹거리 강좌 운영, 연구용역, 농업정책 관련 포럼 등 현장 지향의 연구소를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2017년과 2018년에 무상으로 귀농인들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업 강좌를 운영한 적이 있다. 그 당시 기간이 너무 짧았다는 의견들이 많아 올해는 기간을 늘려 운영해 볼 생각이다. 또한 소비자가 바뀌어야 농업도 바뀌는데 이와 관련 소비자먹거리강좌도 운영해 볼 생각이다. 좀 더 큰 욕심은 농민상담소를 운영해 농민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애로사항 등에 대한 상담도 해 볼 생각이다.”

인구와 자본 등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자치는 갈 길을 잃어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 지방만의 특색을 살리는 신성장 동력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충남의 농촌 고령화율은 전국 시·군 중 5위로 17.4%에 달한다. 농촌의 인적재생산과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정책 제안이 이 문제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홍성에는 자원들이 많다. 이런 자원들에 대한 정책적 연구는 현장에서 이뤄져야 한다. 농업과 자치연구소가 지역의 놀이터가 되기를 희망한다.”

모든 문제의 해답은 현장에 있다. 그러나 많은 정책입안자들은 현장을 찾지 않는다. 현장을 찾더라도 자신의 인사만 늘어놓기 바쁘다. 현장을 가는 이유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다. 내 얘기가 아니라 다른 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일, 그리고 이를 정책으로 만들어내는 일, 지금 우리 사회에 가장 필요하고 의미 있는 일임에 틀림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