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힘, 좋은 이웃
상태바
농촌의 힘, 좋은 이웃
  • 이동호 <홍동면>
  • 승인 2019.04.16 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날을 맞아 동네 이모가 새 농사를 계획하고 하우스에 남아있는 작물들을 주변으로 이주시키기 시작했다. 씨앗으로 시작해 한겨울 추위, 오늘의 꽃샘추위까지 푸름을 지켜왔던 대파. 이제 꽃 좀 피나 했는데 이 무슨 ‘풍비대파’란 말인가.

“뿌리째 뽑혀 뙤약볕형을 당한 토마토보단 나은 상황 아닙니까. 파바람이 불기 전에 몸을 피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형님”이라는 말이 들리는 듯하다. 이모의 기별에 찾아간 내 앞에 대파 한 무더기가 엎드려 있다. 그냥 팔아도 될 대파를 한 수레나, 그것도 모자라 이모는 즉석에서 상추, 시금치, 참나물을 뜯으며 다 먹으면 또 오라는 말을 얹어주셨다.

“현재 수준의 경제라면 ‘좋은 삶’에 필요한 물질적 조건은 충분하다. 우리가 개인 차원에서나 사회 차원에서나 추구해야 할 것은 돈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좋은 삶’이 되어야 한다. 돈에 대한 사랑 대신 좋은 삶을 다 함께 추구해야 할 목표로 설정한다면, 그때의 중요한 키워드는 ‘효율’이 아니라 ‘충분’이 되어야 한다.”

로버트 스키델스키, 에드워드 스키델스키가 저술한 ‘얼마나 있어야 충분한가’는 철학자와 경제학자가 함께 썼다는 점에서 특별하고, 이들이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점에서 특이한 책이다. 경제학과 철학의 접점이 모색된다. 저자들은 ‘돈벌이 자체는 인간의 진정한 목적이 될 수 없음을’ 주장하며 경제, 즉 돈이란 인간에게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 경제는 발전(소득은 증가)했는데 노동시간은 왜 줄지 않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한다.

동네 이웃들에게 받은 것이 많다. 김장김치 한 통을, 종자용 강남콩을, 식혜를, 농사 노하우를, ’닭’을 치라고(발음주의) 병아리를, 쑥개떡을, 논둑에 메어 먹이라고 염소를 받았다. 여기가 도시가 아님을 다시금 깨닫는다. 그것은 단순히 사람들이 농사를 지어서, 자연에 가까이 살아서, 인구가 적어서가 아니다. 이곳에는 이웃이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로망’은 우리 사회의 두려움을 보여준다. 개인이 책임져야 하는 노후. 마을이 깨지고, 가족이 쪼개져 개인이 남았다. 개인의 두려움을 파고드는 것은 보험과 복지 산업이다. 돈 벌러 외지로 나간 자식세대의 귀향은 점점 더 먼 ‘로망’이 되어간다.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던 마을 내 관계, 즉 복지는 단절되고 있다. 여러 채소로 가득 찬 손수레를 밀고 돌아가는 동안 느낀다. 금전거래 이상의 무언가로 살아가는 곳, 충분함이라는 넉넉함이 있는 곳, 인간적인 관계가 있는 곳, 이것이 농촌의 힘이라는 것을 말이다. 나도 마을 안에서 좋은 이웃이 됐으면 좋겠다.

덧붙여 책의 결론을 쓴다. 저자들은 좋은 삶을 누리고,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기본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건강, 안전, 존엄, 개성, 자연과의 조화, 우정, 여가 등 모든 사람들에게 고르게 제공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본 권리를 구현하기 위한 주당 노동 시간의 제한, 법정 휴일의 확대, 기본 소득, 누진소비세, 광고 줄이기, 세계화의 속도 조절 등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정책도 눈여겨 볼만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