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쌀 지키기 농민대책위원회(한국쌀전업농 충남도연합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충남도연맹, 전국한우협회 충남도지회, 카톨릭농민회 충남도연합회, 고덕면천주물공단반대대책위원회)는 16일 충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북쌀지원을 즉각 재개, 농민 목숨 담보로 하는 FTA 중단, 4대강 사업 중단하고 4대강 예산을 농업예산으로 전환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일미칠근(一米七斤)이라고 했다. 쌀 한 톨 생산을 위해 농민들은 일곱 근의 땀을 흘린다는 말이다. 하지만 현실은 농민들에게 일미칠근이 아니라 일미칠혈(一米七血)을 요구하고 있는 것 같다"며, "30년만의 흉작으로 생산량이 작년에 비해 30%가량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쌀 가격은 계속 폭락해 급기야 20년 전으로 회귀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어 이들은 "정부는 쌀 직불금제도가 있어 농가의 소득이 일정정도 보장된다고 선전하고 있지만, 이조차 차액의 85%만을 보장할 뿐이며, 2005년 생산비 수준에 맞춰져 있어 물가인상률을 전혀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게다가 농민들의 인건비를 중고등학생 아르바이트 수준인 시간당 4천원으로 산정하고 있다니, 우리 농민들의 노동력을 저평가해도 너무 심했다."라며, "2010년 우리 농민들은 최악의 한해를 보내고 있다. 소득은커녕 연말에 농협 이자 조차 갚기 어려운 상황이다. 1년 농사를 마무리 지었으면 자식에게 가장으로서 큰소리치며 등록금도 떡하니 주고, 용돈도 넉넉하게 쥐어 주고 싶은데 현실은 캄캄하다'고 암담한 심정을 밝혔다.
또, "연일 FTA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정부의 개방농정으로 파탄난 농업이 얼마나 더 희생을 더해야 하느냐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쌀 대란을 핑계로 전체 농지의 4분의 1을 축소한다니 적반하장도 이런 경우는 없다."라며 "충남도 역시 마찬가지다. 2009년 최저쌀값으로 충남 농민들의 자존심이 땅에 떨어진 마당에 2010년도에는 최악의 작황으로 생산량이 30%나 하락했다. 하지만 변변한 대책조차 내놓지 못하면서 예산과 시기 운운하며 쌀 직불금 시행 까지 미루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충남 농민들은 '충남 쌀 지키기 농민대책위'를 결성하고 정부와 충남도에 대북 쌀 지원을 즉각 재개, 쌀 목표가격을 21만원으로 인상하라, 충남도 쌀 직불금을 즉각 시행하라, 농민 목숨 담보로 하는 FTA 중단하라, 4대강 사업 중단하고 4대강 예산을 농업예산으로 전환하라" 등을 요구했다.
충남 쌀 지키기 농민대책위는 "농민들의 요구가 반영될 때까지 강력한 투쟁을 전개 할 것, 오는 25일 충남지역 5000여명의 농민들과 함께 농민대회를 개최하고 충남농민들의 명확한 의지를 보여줄 것이며, 내달 8일은 전국의 농민들과 함께 정부의 반농업 정책을 규탄하는 투쟁을 전개할 것이다"고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