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의 도심공동화를 막자
상태바
홍성의 도심공동화를 막자
  • 전용식 기자
  • 승인 2007.12.26 1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심공동화방지대책추진위원회 1월 발족, 도청이전 계기로 현실대안 필요성 절실

지난 17일 홍성군의회 김원진 군의원과 오석범 군의원은 내년 1월 (가칭)도심공동화방지대책추진위원회(이하 도심공동화대책위)를 발족한다고 밝혔다.
홍성군의회 화요간담회를 통해 내년 1월중 도심공동화 대책위 발기인대회를 갖고 본격 활동에 돌입하기로 의견을 모았으며, 각읍면을 대표하는 단체의 장이나 주민대표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도심공동화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원진 군의원은 “도심 공동화는 이미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신도시가 건설되면 그나마 남아 있는 상인들이 모두 떠나고 유동인구마저 발길을 끊으면 홍성은 그야말로 폐허가 될 것”이라며 “도심을 살리는 것이 홍성 전체의 경제를 탄탄하게 만드는 지름길이라는 생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홍성군과 군의회는 도심공동화 해소대책팀과 위원회를 각각 구성해서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좋다”며 “홍성지역 도심공동화 해소를 위해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안산노선이 홍성역까지 와야 한다. 충남도에도 책임이 있다”며 “도청신도시를 자족도시로 만든다고 했기 때문에 홍성군이 일개구로 흡수되던지 도청신도시를 홍성군이 편입시켜야 된다”고 소신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충남도청신도시 건설이 현실화돼가고 있는 상황에서 도심공동화에 대한 위기감이 팽배하지만 이를 홍성발전의 계기로 삼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청이전과 도심공동화를 등치시키는 것은 문제해결을 위한 합리적 대안을 도출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지적이다. 왜냐하면 도심공동화는 도청이전과 관계없이 도시성장과정에서 나타난 필연적인 현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분석이기 때문이다.
바로 도시가 발전하면 할수록 외곽으로 뻗어나가는데 그러다보면 아무래도 도심의 구심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도시계획측면에서도 상업지역이나 주거지역 등으로 도시를 세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심은 상업지역으로 자리 잡게 되고 이로 인해 집주분리현상, 즉 직장과 잠자리가 분리되면서 도심공동화를 야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뉴욕을 비롯한 세계 대부분의 대도시와 우리나라만 해도 서울이나 부산, 대구, 대전 등 대도시는 모두 도시발전과정에서 도심공동화현상에 직면하게 됐었다.
물론 도청이전이 도심공동화에 대한 우려를 피부로 느끼게 만든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지만 도심공동화현상은 국내외 대도시가 다 같이 겪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재개발 성공사례는 많은 시사점을 주기도 한다.
외국의 예를 들어 동경의 롯본기힐스는 4만여평의 슬럼가를 모리부동산에서 고급맨션,오피스빌딩, 쇼핑센터가 즐비한 최첨단도시로 탈바꿈시켰으며 독일 베를린의 소니센터도 동ㆍ서독 접경지의 폐허가 된 15만평의 포츠담광장을 개발한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