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유출사고가 일어난 태안 인근 지역에서 유통·판매 중인 수산물이 모두 안전한 것으로 파악됐음에도 홍성군을 비롯한 재해특별지역으로 분류된 인근의 6개 오염지역에서는 현재 수산물 출하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 27일 “최근 서해안에서 유통·판매되고 있는 수산물과 횟집 수족관 용수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현재 유통되는 수산물은 유출사고 전에 생산됐거나 오염지역에서 떨어진 먼 바다에서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특히 식약청은 지난 19일부터 26일까지 태안, 서산, 서천, 보령, 당진, 홍성 등 충남 6개 오염지역과 인근지역 위판장·횟집 등 20여곳에서 수산물과 용수를 수거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검사를 실시했다. PAHs는 원유에 포함된 200여종의 벤젠화합물을 총칭하는 용어로 이 가운데 ‘벤조피렌’ 등 16종이 대표적인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 같은 검사결과에서 수산물 92건 중 7건에서는 PAHs가 전혀 나오지 않았으며 85건에서도 0.08~121.14ppb로 외국의 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한 것이 입증되었다.
이에 식약청은 “이번 PAHs 검출량, 섭취량 및 독성자료 등을 종합해 위해평가를 실시한 결과 오염지역 및 인근 지역에서 유통·판매되고 있는 수산물은 인체에 해가 없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김명현 식약청장은 “오염지역의 수산물은 생산·출하가 금지돼 있고, 원유에 오염된 수산물은 냄새나 외관으로 쉽게 알 수 있어 유통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소비자들은 평상시와 다름없이 구매·소비해도 안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