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시대, 홍성은 막아낼 수 있습니다”
상태바
“지역소멸시대, 홍성은 막아낼 수 있습니다”
  • 이용록<홍성군수>
  • 승인 2023.10.26 08: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3일 SK브로드밴드 수원방송 스튜디오에서 케이블TV 공동기획토론회 ‘지역소멸을 막아라’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다녀와서 지역소멸 위기의 심각성과 우리군의 현주소를 함께 고민하고자 이렇게 펜을 들었다.

이날 토론회는 전남대학교 주정민 교수의 진행으로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우동기 위원장을 비롯해 지방자치분권연구센터 전대욱 센터장과 약 90분간 진행됐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 수가 사상 최저를 보이며 합계출산율이 처음으로 0.78명대로 떨어지며 세계에서 합계출산율이 한 명을 밑도는 나라인 대한민국의 미래를 걱정하며 대안을 함께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1개소, 제주도 내 행정시 2곳 등 229개 지역을 대상으로 인구감소지수 지표 8개를 바탕으로 전국 89개소가 인구소멸지역으로 지정됐으며, 충남의 경우 15개 시·군 중 시 단위 3곳을 포함해 9개 시·군이 지정됐다. 그중 군 단위로는 유일하게 홍성군만이 인구소멸 지역에서 벗어났다.

인구소멸지역은 우선 인구의 50% 이상이 국토의 11.8%에 그치는 수도권에 밀집돼 있는 구조와 출산율 0.78명을 기록하며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라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와 수도권 과밀로 인한 인구분포 불균형이라는 관점에서 인구문제를 분석, 지역 활력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동안 우리군은 대한민국 친환경농업의 메카 홍동면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최초 유기농업특구로 지정됐으며, 농촌의 소득증대를 도모한 결과 전국 농가 인구수 2013년 248만 명에서 2022년 216만 명으로 감소하는 상황인 반면 홍성군은 2010년 전업농 6325명에서 2020년 6497명을 기록하며 증가세를 보였다는 것이 고무적인 결과다.

앞으로는 청년들이 홍성에 정주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을 떠나는 이유로는 ‘직업’이 40%로 가장 높았다. 지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청년에게 홍성군 자원을 활용한 창업을 지원해 지역 청년들의 유출을 방지하고 도시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유도할 것이다.

그동안 추진했던 △홍성복합문화창업공간 ‘잇슈창고’ 운영 △청년 창업·창직 지원사업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사업 △홍성형 일자리 군민채용제(청년·중장년) 지원사업 △청년후계농영농정착지원사업 △청년어촌정착지원 등 다양한 청년 지원사업에 내실을 기하고, 민선 8기 제1호 정책공약인 내포신도시 미래신산업 국가산업단지가 조성하고 내포신도시 첨단산업단지에 220억 원을 들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공주대학교, 충남테크노파크, 한국생활기술연구원 등과 함께 차량용 모빌리티용 경량 고강도 소재개발 부품화 실증 기반을 구축해 지역에 미래 모빌리티 소재 부품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면 양질의 일자리가 제공됨에 따라 청년들이 홍성을 찾을 것이다.

이 밖에도 전국 최초로 운영 중인 복합복지문화시설 홍성가족어울림센터와 소아 야간 응급의료센터 등 육아를 지역주민이 함께하는 구조를 만들고 교육부에서 주관한 ‘제3기 교육국제화특구’에 지정됨에 따라 126억 원을 투자해 2023년에서 2027년까지 교육국제화특구를 추진해 수도권과의 교육 편차도 줄여나갈 것이다.

끝으로 정주 인구 늘리기는 지자체 간 인구 뺏기 경쟁이 될 수 있기에 우선 생활인구를 늘려 지역경제를 회복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생활인구의 증가는 정주인구 증가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축을 담당하기에 홍성군은 투트랙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첫째로 홍주읍성의 복원과 남당항 주변 개발을 통한 관광 활성화로 지역에 머무르는 시간을 늘려 생활인구를 늘려나갈 계획이며, 둘째는 서해선 KTX 개통으로 서울 1시간 생활권이 되면 수도권에 비해 저렴한 집값과 교통편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장점으로 직장생활은 서울에서 정주는 홍성에서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지역소멸을 거슬러 지역 활성화를 이뤄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