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설치를 위한 최적 장소 물색 중
지난 2월 내포신도시를 비롯한 홍북읍 주민들의 불만 섞인 아우성이 빗발쳤던 홍성군 생활폐기물 처리(소각)시설 설치와 관련해 군이 당초 계획을 변경해 4차 공고에 나섰다.
군은 세 차례에 걸친 생활폐기물 처리(소각)시설의 입지선정 공고에서 결국 참여 후보지를 찾지 못해 4차 공고를 통해 지난 5월 10일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지 827호(2024년 2월 22일자) 3면 ‘생활쓰레기 소각장 설치 반대 목소리’ 제하의 기사를 통해 알려진 홍북읍 홍천마을 주민 간 갈등 상황도 여전히 팽배하게 맞서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마을주민 A씨는 “아직도 여전히 주민들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전했다.
또 다른 주민 B씨는 “지난 2월 주민의견을 모으기 위한 투표를 통해 ‘반대’ 의견이 많다는 결과를 얻었고, 이후 마을에서 소각장 설치와 관련해 어떤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결국 반대하는 주민들이 많아 홍천마을에 시설이 설치될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군은 하루 55톤의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2029년 기준으로 예상되는 발생량을 고려해, 시설의 처리 용량은 하루 70톤으로 설정됐다. 소각시설 설치를 위해 필요한 면적은 최소 1만 2000㎡이다.
입지선정 기준은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설치가 가능한 지역 △해당 지역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유치하기를 희망하는 지역 △주거지와의 격리 정도를 고려해 민원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지역 △차량 진출입이 용이하고 교통 혼잡이 적은 지역 △토지이용계획에 제한을 받지 않는 지역이 해당된다.
입지선정은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민대표 등이 참여하는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진행된다. 위원회는 전문 연구기관의 입지후보지 타당성 조사 또는 관계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최종 입지를 선정한다.
군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설치를 위한 입지 후보지를 공개 모집을 통해 현재 운영 중인 매립시설과 재활용선별시설의 연계성을 고려해 효율적인 폐기물 수집·운반이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는 폐기물 배출량이 많은 지역에서 소각시설까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입지 후보지로 신청할 수 있는 지역은 홍성군 전 지역이며, 부지면적 1만 2000㎡ 이상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신청자는 신청지역 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의 50% 이상 주민동의와 토지 소유자의 80% 이상 매각 동의를 얻어야 한다. 단 신청지역 부지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이 없거나 토지 소유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인 경우에는 동의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자세한 사항은 홍성군청 환경과(041-630-9830, 9829)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