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은 1년 중 제일 첫날이라고 하여 세수(歲首) 혹은 연수(年首)라고 하기도 한다. 또는 원단(元旦)이라고 하기도 한다. 원(元)은 시작이라는 의미이고 단(旦)은 아침을 뜻하니 새해가 시작되는 아침이라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날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조상께 새해가 왔음을 고하고 平安(평안)을 祈願(기원)하는 의미로 祭祀(제사)를 지냈다. 이것을 “다례(茶禮)” 또는 “차례” 라고 불렀다. 오늘날도 우리들은 차례를 지내고 있다. 이러한 조상숭배의 정신에서 내려온 것이 집안 어른에게 歲拜(세배)를 올리는 아름다운 풍습이다.
새해에는 아들에게 예쁜 옷을 새로 만들어 입혔다. 새 옷을 입기는 어른들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아들에게는 울긋불긋한 화려한 옷을 입혔다. 이러한 새해 옷차림을 “설빔” 이라고 했다. 이는 한 해 동안 훌륭하게 성장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였다.
설날에는 특별한 음식을 만들었다. 이러한 별식을 세찬(歲餐)이라고 불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화된 것이 떡국이다. 차례 지낼 때뿐만 아니라 손님 접대 혹은 식구들이 모두 먹을 때도 내놓았다. 긴 떡가래는 수명·장수라는 축복의 뜻이 들어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제사와 더불어 이 날에 술이 빠질 수 없다. 설날에 마시는 술은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오래 산다하여 여러 약제를 조합한 술을 마시거니와 이것을 제주(祭酒)라고 했다.
이날은 묵은 것을 쫓아버리고 새것, 새 행복, 새 희망을 추구하는 날이기도 했다. 따라서 그러한 뜻을 지닌 행사로 제를 올리고 난 후 자손들이 성묘를 다닌다. 이도 조상숭배에서 비롯된 풍습이다.
이날은 온 식구들이 모여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 등을 하며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설날이 되면 최소한 삼일은 쉬었고 이때 길거리는 화려한 설빔을 차려입은 많은 남녀들이 떠들썩하게 거리를 왕래했다. 아는 사람들을 만나면 ‘복 많이 받으세요’ 하거나 아들을 보라거나 또는 건강을 축원하는 ‘德談’을 건네기도 한다.
새해의 기쁨을 서로 같이 나누는 것이 우리의 아름다운 풍습이다.
장재근(세광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