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지명 되찾기 선거공약으로
상태바
‘홍주’지명 되찾기 선거공약으로
  • 홍주일보
  • 승인 2014.01.09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성군이 올해 10대 역점시책으로 ‘홍주천년 맞이 홍주의 얼 계승운동’을 전개한다고 한다. 홍성군은 홍성지명 100년, 고암 탄생 110주년, 한성준 선생 탄생 140년, 만해 한용운 선사 서거 70주년 등을 맞는 2014년을 ‘홍주천년 맞이 준비의 해’로 설정하고, 홍주의 얼 계승운동을 위한 연차계획을 수립, 추진한다는 것이다. 천년홍주를 재조명해 지역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높여나갈 방침이라는 것이 핵심이다. 늦었지만 천만 다행이다. 그러나 가장 시급한 문제는 홍성과 홍주의 혼재 속에서도 토종지명인 ‘홍주’라는 이름을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홍주(洪州)는 고려시대 운주에서 1012년 처음으로 ‘홍주’라는 지명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1914년 일제에 의해 홍주의 ‘홍’자와 결성의 ‘성’자를 따서 ‘홍성(洪城)’이란 지명으로 개명한 것이다. 전국의 옛 목사고을 중 일제에 의해 강제로 빼앗긴 이름을 되찾지 못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 ‘홍성’이다. 홍주천년을 재조명하느니, 정체성과 자긍심을 찾느니, 홍주의 얼을 계승하느니, 구호만 요란해선 안 된다. 정작 핵심과 정통성은 옛 지명 ‘홍주’를 되찾는 일이기 때문이다. 옛 지명 ‘홍주’ 되찾기에 대한 무관심은 군민들도 마찬가지다. 특히 충남도청이 80년 만에 천년 역사의 홍주 땅으로 옮겨 올 때도 그랬고, 옮겨왔어도 그렇다. 군도 허울 좋은 역사적 고증 운운하며 짜맞추기식 행정의 전형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충남도청 신도시가 홍성과 예산군의 경계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통합과 지명 문제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고 환기시키는 등의 심도 있는 토론의 장을 열어야 한다. 역사적 증명과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지명을 되찾아야 하는 이유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특별한 이슈가 없는데도 지명 되찾기, 역사바로알기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점은 우리에게 반면교사다.
충청남도는 도청이전이라는 대역사를 앞두고 결정한 신도시의 명칭을 ‘내포’로 정했다. ‘내포’는 고유 명사인 지명이 아니고 광의적으로 지역을 뜻하는 말이다. 문제는 단지 신도시의 명칭인데도 ‘내포시’인양 오도되는 등 ‘내포’라는 명칭의 한계성이다. 충남도청 이전지역인 홍성과 예산은 행정체제 통합을 전제로 할 경우 지명 사용을 놓고도 힘겨루기 등의 갈등조짐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잠재적 갈등을 우려해 지은 신도시 명칭은 ‘내포’라고 정했어도 지명은 분명히 재론해야 한다. 통합과 지명 문제는 다양한 계층의 중론을 모아 신중한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지금 홍성은 천년 홍주의 역사를 바로 인식하고 홍주라는 지명을 되찾아야 할 기회다.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들은 이를 선거공약으로 내세워 옛 지명 홍주를 되찾는 일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이는 곧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역사가 되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