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인간
상태바
자연과 인간
  • 편집국
  • 승인 2008.03.22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취락 구조를 보면 대개 북서풍을 막아 주는 야산을 뒤에 두고 앞에는 시냇물이 흐르는 가운데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어느 곳에가 보아도 익숙한 풍경이다.
마을에는 우물을 중심으로 집을 짓고 우물가는 사람이 늘 모이며 동네 소식을 들을 수 있는 곳이다.
내가 유년시절을 보낸 동네도 전통적인 자연취락으로 공동 우물을 각기 하나씩 끼고 윗말, 아랫말, 양지말  세 군데로 나뉘어 살고 있었다.
아침 먹고 아이들이 몇 명만 모이면 올라갔던 산이며, 여름날 더위에 못 견디어 헤엄치던 앞개울, 그 놀이판이 유정한 곳이기도 하여 일기장 속에 아직도 살아있다. 찔레 순이나 진달래 꽃 잎을 따러 또는 도토리를 주우려 철마다 나무 그늘을 헤집고 다닌 나로서 산에 대한 감각은 남다르지만 바다만큼 세련되거나 감상적이지는 않았다.
누구는 산이 풍요로워 바다보다 좋다고 하지만 나는 드넓은 바다가 더 좋다.
하얗게 파도치는 푸른 바다소리를 듣고 있으면 생명의 충동과 함께 면면히 이어지는 유구한 자연의 막힘없는 무한 앞에 신비감마저 느낀다.
지난여름 나를 빙자해 배를 타고 섬에 가고 싶다고 자기 신랑에게 투정을 했다는 내 친구는 신랑 왈, 방 안에 물을 가득 채우고 돌을 띄워 줄테니 실컷 놀라고 했다니 농담치고는 지나친 것 같다.
그래도 우리 그이는 바다 보고 싶다면 대청 댐 정도는 데려가주니 그 심성이 곱게 보인다. 모터사이클을 타고 신랑 뒤에 꽉 붙어서 바람을 가르며 달리는 기분은 엄청나게 상쾌하다.
“발만 올려 놓고 입만 놀리면 목적지에 도착하니 얼마나 편해? 나도 한번 여자 뒤에 매 달려가 봤으면 좋겠네.” 하며 투정하는 신랑을 상긋한 미소로 답하며 대청 댐 가는 길에는 만개한 개나리가 들러리해 주는 것 같다.
돌아오는 길에는 상당산성에 들렀다.
   그 많은 돌은 운반하여 저 높고 넓은 성을 쌓는데 그 당시 얼마나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모했을까 생각하며 선조들의 피와 땀의 고귀함을 느낀다.
산이며, 바다며, 호수며, 영원한 자연의 연장선 속에서 인간의 역사도 함께 함을 깨닫는다. 그러기에 인간도 자연의 일부임을 부인할 수가 없을 것 같다.
작품의 결과를 생가하지 않고 순수한 열정에 빠져있는 예술가가 행복하듯 말없는 자연의 품이 편안하다.

                                                                        허영옥(홍성도서관 청하글쓰기교실 회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