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견례-관자, 계자의 부모님이 주례, 계자빈 선생님에게 예를 올리고 있다. ▲ 삼가례-른이 입는 3가지 복장을 갈아입히며, 그 순간순간에 교훈의 말씀을 전수한다. 관자와 계자에게 찬자와 시자가 어른이 입는 재가례복장을 입혀 주고 있다. ▲ 가관례-이제 어른이 되었음을 상징하는 의미로 관자에게는 관모를 계자에게는 비녀를 틀어준다. 계자에게 시자가 족두리를 씌워주고 비녀를 틀어주고 있다. ▲ 초례-성년이 되었음을 축하하는 뜻에서 관자에겐 술잔을 내려주고, 계자에겐 차를 내려준다. 술을 마시도록 허락하되 술마시는 법도를 교훈으로 내리는 순서이다. ▲ 명자례-조상이 내려주신 고귀한 몸과 이름을 잘 지키도록 하는 의미에서 이름대신 항상 부를 수 있는 자(字)를 내려주고 그 가르침을 내려주는 명자례 순서를 마직막으로 성년 선언 후 관자는 1번, 계자는 2번 절을 올린다. 저작권자 © 홍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편집국 다른기사 보기 페이스북 카카오톡 URL복사 기사공유하기
주요기사 홍성군, 상수도 지방공기업 3년 연속 ‘우수기관’ 홍성군, 365X24 아동돌봄 거점센터 운영 홍성군, 2025년 농어민수당 103억 원 지급 필리핀 마닐라 국제식품박람회서 K-푸드 열풍… 740만불 수출성과 홍성라이온스클럽, 노인종합복지관에 후원금 전달 ‘농촌 왕진버스’ 주민 건강 지킨다 홍성군, 하반기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홍성군, 전생애 맞춤형 강좌 운영 예산군, 12일부터 농어민수당 지급